한경연 '2020년 일시휴직자의 추이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이기민 기자]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여파로 사업부진과 조업중단이 폭증하면서 일시휴직자 1명이 늘면 그 다음 달에 취업자가 0.35명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020년 일시휴직자의 추이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며 고용유연화 등 노동정책을 통해 코로나19 상황에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경연은 보고서를 통해 올해 3~5월의 일시휴직자 수는 각각 160만 7000명, 148만5000명, 102만2000명을 기록했다면서 1997~1998년 IMF 위기나 2008~2009년 금융위기 때도 이와 같은 전례가 없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 분석결과 일시휴직자가 100만명 이상을 기록한 3~5월 평균 기준으로 일시휴직자의 약 58.2%가 사업부진 및 조업중단으로 인한 일시휴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통 사업부진·조업중단으로 인한 일시휴직 비중이 20% 전후를 기록하던 2018년~지난해와 비교하면 크게 증가한 수치다.
산업별 분포를 살펴보면 평균 일시휴직자 137만1000명 가운데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 일시휴직자는 26만5000명(전체 대비 19.3%)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교육 서비스업에서 24만1000명(17.6%)을 기록했다. 도소매와 숙박 및 음식점업의 경우 총 20만7000명(15.1%)의 일시휴직자 수를 기록하였으며 제조업에서도 11만1000명의 일시휴직자가 발생했다.
직업별 분포에서는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에서 가장 많은 36만명(26.3%)의 일시휴직자가 발생하였으며, 단순노무 종사자의 경우에도 33만2000명(24.2%)의 일시휴직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전문가나 단순노동 근로자 모두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2020년 경제활동인구조사에 가상패널 모형을 적용해 일시휴직자가 고용관련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고 일시휴직자의 지위 변화에 대한 함의를 모색했다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분석결과 일시휴직자는 시간이 지날수록 취업자 수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15~64세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사업부진 및 조업중단으로 인해 발생한 일시휴직자가 1명 증가하면 그 다음 달에 취업자는 0.35명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시휴직자가 다음 달에 비취업자가 될 확률이 최대 약 35%라는 것과 같은 영향으로도 볼 수 있다. 사업부진 및 조업중단으로 인한 일시휴직자 1명 증가는 두달 후에는 취업자를 0.58명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한경연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에서 일자리를 지키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고용시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고용 및 근로시간 유연성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유진성 연구위원은 “근로유연화를 통해 일자리를 나누고 기업의 부담을 줄여 일자리의 지속성을 유지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예를 들어 전일제 근로자를 필요할 때는 시간제 근로제로 전환해 근무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선택제 등과 같이 근무형태의 다양화를 통해 근로유연화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