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직 커버해야 할 곳이 많지만 LTE보다 (속도가) 3~4배 나온 걸로 봐서는 5G(5세대 이동통신) 망이 안정적으로 깔려 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5일 5G 이동통신 품질 평가 조사 결과를 발표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총평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의 5G 평균 전송 속도가 다운로드 656.56Mbps, 업로드 64.16Mbps로 조사됐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4세대인 LTE(롱텀에볼루션) 다운·업로드 평균 속도인 158.53Mbps, 42.83Mbps보다 각각 4배, 1.5배 가량 빨라졌다는 것이다. 5G는 지난해 4월 국내 이통사들이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다. 이번 평가 결과는 이후 약 1년 4개월 만에 처음으로 나온 것이다.
과기정통부는 커버리지 측면에서도 조사 대상인 서울(425.53㎢)의 경우 임야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6대 광역시(931.67㎢)는 도심과 주요 지역에서 5G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고 했다. 5G를 쓰다가 서비스 불안정 탓에 LTE로 전환되는 비율도 6.19%에 불과했다. 잘 끊기고 느려 가입자들 사이에서 '속 터지는 5G'라고 불린 오명과는 사뭇 다른 평가 결과다.
가입자들 사이에선 그럼에도 "'20배 정도 빠르다'고 광고해 놓고 너무 느린 것 아니냐"는 불만이 팽배하다. 5G는 28GHz 주파수 대역의 단독모드(SA)에서 이론상 LTE보다 속도가 20배 가량 빠르다. 하지만 통신사들이 상용화한 국내 5G 기술은 3.5GHz 대역의 비단독모드(NSA)다. 5G 망과 LTE 망을 연동해서 쓰다 보니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지 않고 접속이 5G에서 LTE로 전환되는 일이 잦다. 그런데도 통신사들은 5G 상용화 전부터 신규 가입이나 전환 가입 유도를 위해 초고속·초연결·초저지연의 특장점을 부각했다.
이런 이유로 상용화 1년이 지났지만 가입자 불만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한국소비자연맹에 따르면, 5G 소비자 불만 접수 건수 2055건 중 품질 관련 불만이 29%(590건)이다. "LTE와 속도 차이를 모르겠다" "자주 끊긴다"는 불만들이다. 방송통신위원회 통신분쟁조정위원회의 분쟁 조정 건수의 20%가 5G 품질 관련 민원이라고 한다. 급기야 참여연대는 지난 6월 "5G 전국 상용화 발표 후 14개월이 지났는데도 (통신사) 광고에서 나온 삶의 변화는 체감되지 않고 있다"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조사를 의뢰했다.
홍진배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이날 조사 결과 발표 후 가진 브리핑에서 "LTE의 경우에도 이론상 속도는 1Gbps지만 필드에선 158Mbps 정도"라며 "2013년 측정 당시 속도가 30~50Mbps 정도 나왔는데 주파수 대역 확대와 망 안정화로 지난해 158Mbps까지 올라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20배 속도는 모든 이론적 환경이 다 적용되고 기술과 진보가 이뤄졌을 때 가능한 것"이라며 "앞으로 주파수 폭 확대나 기술개발 등이 복합적으로 됐을 때 (이론상 속도에) 근접해 갈 것으로 본다"고 했다. 통신 3사는 2022년까지 5G 관련 유·무선 인프라에 최대 25조7000억원을 투자해 전국망을 구축하겠다고 최근 발표했다.
오상헌 기자 bborirang@mt.co.kr, 김수현 기자 theksh01@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