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지난해 집값 시가총액 5000조 돌파…GDP 대비 집값 사상 최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아시아경제DB=김현민 기자 kimhyun8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의 집값 시가총액이 사상 처음으로 50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 시가총액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배율도 역대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주택 시세의 합인 주택 시가총액(명목)은 5056조7924억원으로, 한 해 전(4709조6118억원)보다 7.4% 증가했다.


국내 집값 시가총액은 2000년 처음으로 1000조원을 넘었고, 2006년에 2000조원을 돌파했다.


다시 2010년에 3000조원, 2016년에 4000조원대로 각각 올라섰고, 지난해에 처음으로 5000조원대를 기록했다. 총액 1000조원이 늘어나는 데 불과 3년 걸린 것이다.


김대중 정부 말기와 노무현 정부 시절에 해당하는 2002∼2007년에는 매년 10% 이상 시가총액이 불어났다. 특히 2002년(1321조4267억원)에는 한 해 전보다 16.8% 늘어 역대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시가총액 상승률은 2012년, 2013년에 각각 2.5%, 2.6%씩으로 2%까지 줄었으나 이후 점차 상승했다. 2018년(9.2%)에는 다시 10%에 육박하며 11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경제 성장세와 견줘 주택 시장이 얼마나 활성화했는지 나타내는 지표인 명목 GDP 대비 시가총액 배율은 지난해 2.64배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이 배율은 2005년 처음으로 2배를 넘은 뒤 4차례를 제외하고는 매년 상승했다. 배율이 올랐다는 것은 경기보다 주택 시장이 더 호조를 나타냈다는 뜻이다.


한국의 명목 GDP 성장률은 최근 들어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다. 명목 GDP 성장률은 2017년 5.45%에서 2018년 3.40%로 줄었다.


지난해에는 GDP 성장률이 1.1%(1898조2000억→1919조원)로 2018년의 3.4%(1835조7000억→1898조2000억원)보다 크게 낮아졌다.


이 기간 집값 시가총액이 크게 불어난 반면 명목 GDP 성장률은 둔화하면서 배율은 높아져만 갔다.


2017년 2.35배였던 것이 2018년 2.48배로 올랐고, 지난해에는 가장 높은 값인 2.64배까지 상승했다. 문재인 정부 들어 투기 과열지구를 6년 만에 부활시키는 등 수차례 강도 높은 대책을 내놨는데도 집값은 잡히지 않고 배율은 높아져만 간 것이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문재인 정부 들어서 다주택자 규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GDP 대비 주택 시가총액 배율이 빠른 속도로 올랐다"며 "수요가 많아 원래 집값이 비싼 곳을 중심으로 가격이 확 늘어나면서 배율이 오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