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국회의장과 한국정치

대통령 연설 하루 만에… 국회의장 “남북 국회회담 제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회담 성사 시 우리 국회 파트너는 北 ‘최고인민회의’

현재 김여정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김정은은 아냐

세계일보

박병석 국회의장이 17일 제헌절 기념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뉴스1


박병석 국회의장이 제헌절인 17일 북한에 남북 국회회담 개최를 공식 제의했다. 전날(16일) 문재인 대통령이 21대 국회 개원식 기념 연설에서 ‘남북 국회회담 성사를 바란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지 하루 만이다.

박 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제헌절 기념식 경축사에서 “한반도 운명의 주체는 남과 북”이라며 “이를 위한 첫걸음으로 국회의장으로서 북측 최고인민회의 대표에게 남북 국회회담 개최를 공식 제의한다”고 밝혔다.

그는 “언제 어디서든 만나 마음을 열고 남북관계와 민족 문제를 진정성 있게 의논할 준비가 돼 있다”며 “한반도 평화와 공동번영의 의지를 천명하고, 남북관계를 법적·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방안을 찾아내자”고 제안했다.

이어 “방역·보건·의료·농업·산림 분야, 그리고 남북 철도·도로 협력 등 민족의 안전과 공동번영에 대한 제도적 방안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는 전날 국회를 찾은 문 대통령의 연설에 호응하는 성격이 짙다. 문 대통령은 개원식 연설에서 “남과 북이 합의한 △전쟁 불용 △상호 간 안전보장 △공동 번영의 3대 원칙을 함께 이행해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국회도 함께 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한반도 평화의 불가역성을 국회가 담보해준다면 한반도 평화의 추진 기반이 더욱 튼튼해질 것”이라며 “역대 남북 정상회담의 성과들의 ‘제도화’와 사상 최초의 ‘남북 국회 회담’도 21대 국회에서 꼭 성사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세계일보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국회에서 열린 제21대 국회 개원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의 국회에 해당하는 북한의 기관은 ‘최고인민회의’다. 현재 북한의 최고인민회의 의장은 박태성, 부의장은 박금희·박철민이 각각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연의 일치이겠지만 한국 국회의장까지 포함해 모두가 ‘박’씨인 셈이다.

눈길을 끄는 점은 북한의 실질적 국가원수인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경우 집권 초기에는 우리 국회의원에 해당하는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겸했으나 현재는 그렇지 않다는 점이다. 김 위원장은 집권 후 처음 치른 지난 2014년 제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서는 ‘111호 백두산선거구’ 후보로 출마해 당선됐다.

하지만 지난해 3월 북한이 발표한 제1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당선자 687명의 명단에 김 위원장은 포함되지 않았다. 대신 그 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지난해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됐고 현재 우리 국회의원에 해당하는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활동 중이다.

김태훈 기자 af103@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