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8 (토)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코로나 쇼크' 취업자 4개월째 감소…6월 기준 1999년 이후 최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계청, 6월 고용 동향…10년 만에 4개월 연속 ↓

60세 이상 제외 모든 연령층서 취업자 감소·고용률 하락

청년층 체감실업률 26..8%…통계 작성 이래 최고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고용시장 충격으로 6월 취업자 수가 35만명 이상 감소했다. 취업자가 넉 달 연속 줄어든 건 2009년 10월부터 2010년 1월까지 4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실업자와 실업률이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9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05만5천명으로, 1년 전보다 35만2천명 감소했다.

지난 3월(-19만5천명), 4월(-47만6천명), 5월(-39만2천명)에 이어 4개월 연속 감소다. 4개월 연속 취업자 수 감소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었던 2009년 10월~2010년 1월 이후 약 10년 만이다.

취업자 수 증감을 업종별로 보면 숙박·음식점업(-18만6천명), 도·소매업(-17만6천명), 교육서비스업(-8만9천명), 제조업(-6만5천명) 등에서 많이 줄었다.

반면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6만4천명), 농림어업(5만2천명), 운수·창고업(5만명) 등은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33만8천명)만 취업자 수가 증가하고 30대(-19만5천명), 40대(-18만명), 20대(-15만1천명), 50대(-14만6천명)에서 모두 줄었다. 특히 15~29세 청년층 취업자가 17만명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시근로자(-40만8천명), 일용근로자(-8만6천명)는 감소한 반면 상용근로자(34만9천명)는 늘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17만3천명, 무급가족종사자는 5만3천명 각각 감소했다. 반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만8천명 증가했다.

통계상 취업자로 분류되는 '일시휴직자'는 1년 전보다 36만명(97.7%) 늘어난 72만9천명으로 집계됐다. 3월(160만7천명), 4월(148만5천명), 5월(102만명) 등 3개월 연속 100만명대를 기록했으나 6월에는 규모가 다소 줄었다
.
15세 이상 고용률은 60.4%로 전년 동월 대비 1.2%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달 기준 2010년 6월(60.0%) 이후 10년 만에 최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9%로 1년 전보다 1.3%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달 기준 2014년 6월(65.9%) 이후 최저다.

특히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1.2%포인트 줄어든 42.0%를 기록했다. 20대(-2.5%포인트), 30대(-1.1%포인트), 40대(-1.6%포인트), 50대(-1.7%포인트) 모두 하락했다.

반면 60세 이상(0.6%포인트)만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중단됐던 노인 일자리 사업이 재개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경제활동인구는 2천828만3천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6만2천명 줄었다. 4개월 연속 감소다.

경제활동참가율은 1년 전보다 1.0%포인트 하락한 63.2%로 6월 기준 2013년(62.7%) 이후 최저치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작년 동월보다 54만2천명 늘어난 1천649만2천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쉬었음'으로 분류된 사람은 229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28만9천명 늘었다.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6월 기준 최대다. 20대(9만1천명↑)를 비롯해 전 연령층에서 늘었다. 구직단념자는 53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2만4천명 증가했다.

실업자 수는 9만1천명 늘어난 122만8천명, 실업률은 0.3%포인트 오른 4.3%였다. 실업자와 실업률 모두 같은 달 기준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99년 이후 최고치다. 청년층 실업률은 10.7%로, 같은 달 기준 1999년(11.3%) 이후 최고였다.

체감실업률을 보여주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년 전보다 2.0%포인트 오른 13.9%였다. 6월 기준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고용 회복의 조짐이 보이나 결코 안이하게 볼 사안은 아니다. 제조업 고용 감소 폭이 확대되고 있다는 사실이 걱정스럽다"며 "다른 연령층에 비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을 크게 받은 청년층의 고용 회복이 더딘 점도 마음 아프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전반적으로 4월을 저점으로 코로나19 충격에서 조금씩 회복되는 모습이기는 하나 국내외 방역 상황 등 아직 불확실성이 크다"며 "민간 소비 여력을 보강함으로써 민간 일자리가 빠르게 회복되도록 지원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판 뉴딜을 추진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전 국민 고용보험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고용사회안전망도 근본적으로 혁신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주진 선임기자 jj72@ajunews.com

-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economidaily.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