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측 갈등ㆍ정부 개입 및 추가 지원 여부ㆍ창업주책임 움직임 여부 등
14일 인천국제공항 주기장에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 여객기가 세워져 있다.(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스타항공의 '운명의 날'이 밝았다. 제주항공이 인수·합병(M&A) 전제로 이스타항공에 제시한 선결조건 이행 마감 시한이 하루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향후 어떤 방향으로 결론이 날지에 대해 업계 안팎의 관심이 뜨겁다.
15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날 자정까지가 선결조건 이행 마감 시한으로 이 시점을 넘길 경우 자동 계약 파기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과의 M&A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권한이 생긴다.
앞서 제주항공은 지난 1일 이스타항공에 10영업일 이내에 선결 조건을 이행하지 않으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공문을 보냈기 때문이다.
다만,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과의 더욱 깊어지는 갈등 등 변수들이 많아, 미지급금 해소 등 선결조건이 이행된다 해도 곧바로 결론이 날지는 미지수다.
우선 제주항공의 운수권 특혜 여부를 두고 양사의 의견이 갈리고 있다. 이스타항공 노조는 제주항공이 지난 5월 15일 발표된 국토부 운수권 배분에서 "제주항공이 11개 노선을 배정받는 특혜를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제주항공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는 입장이다. 제주항공은 14일 입장자료를 내고 "11개 노선 중 △김포~가오슝, △부산~상하이 2개 노선을 제외한 9개 노선은 타 항공사에서 신청하지 않은 단독 신청 노선"이라며 "국토부는 타 항공사가 신청하지 않은 노선을 신청한 항공사에 바로 운수권을 배정한다"고 반박했다.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이스타항공 본사 모습(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뒤 늦게 나선 정부의 중재 움직임도 막판 변수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3일 양측을 만나 M&A를 독료한 데 이어 고용노동부가 지난 8일 이스타항공의 입장을 전달한 이후 이틀 만에 제주항공과 면담 자리까지 마련했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제주항공이 대승적 차원에서 이스타항공을 인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조심스러운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이럴 경우, 제주항공은 정부의 추가 지원이 더욱 절실해진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제주항공도 유동성 위기에 처해 있어, 정부가 인스타항공 인수를 조건으로 제주항공에 지급하기로 한 지원금 1700억 원은 두 항공사가 모두 생존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다. 결과적으로 정부의 추가 지원 여부가 결정적인 변수가 될 수 있다.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책임론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어, 이 의원도 움직임도 이번 계약 성사 여부에 다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업계에서는 실효성 없는 이 의원의 지분 헌납 외에 사재 출연 등 진정성이 묻어난 책임지는 모습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제주항공은 이 같은 상황들을 감안해 15일 내부적으로 회의를 열고 이스타항공 인수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오늘 자정까지는 그 어떤 것도 결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이스타항공은 미지급금 금액을 시한 내에 줄이기 위해 리스사, 조업사 및 정유사 등 관련 업체와 막판 협상을 벌이고 있다. 체불임금 해소만으로는 전체 미지급금을 해결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다만 총 17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미지급금은 지난 3월 인수 계약 이후 발생한 금액에 한정할 경우 약 800억~1000억 원 가량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투데이/하유미 기자(jscs508@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