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4 (금)

[이경우의 언파만파] 낱말의 경직된 사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난리’(亂離)는 어수선하고 야단스러운 상태다. 난리가 나면 질서는 사라지고 어지러워진다. 작은 소동이 벌어지면 ‘난리’라고 비유적으로 말한다. “난리를 떤다”고 하고, “난리를 피운다”고 한다. 과장해서 “6·25 때 난리는 난리도 아니야”라고 하는 일도 있다.

애초 ‘난리’는 소란스러움을 뜻하기보다 주로 ‘전쟁’을 가리켰다. “난리가 났다”, “난리가 터졌다”에서 ‘난리’는 전쟁을 뜻하는 것이었다. 오래된 국어사전에서는 ‘난리’를 “전쟁과 같음”(문세영, ‘조선어사전’, 1938)이라고 풀어 놓기도 했다.

전쟁이 나면 사람들은 안전한 곳으로 옮겨 간다. 난리를 피해 ‘피란’(避亂)을 가는 것이다. 한데 ‘피난’(避難)이라고 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발음이 편한 것도 있다. ‘어지러울 란’(亂) 대신 ‘어려울 난’(難)을 쓴 ‘피난’은 “재난을 피한다”는 뜻이다. ‘재난’은 “재앙과 고난”이다. 그러니 전쟁도 재난에 속할 수 있다. ‘6·25 피난 시절’, ‘전쟁으로 인한 피난’, ‘전쟁 피난민 행렬’ 같은 표현들을 쓴다. 그러자 누군가 ‘피란’을 규정하고 나섰다. 전쟁 때문에 피하는 것은 ‘피란’이어야 한다고 했다. 일부에서는 움찔했고 받아들이기도 했다. 하지만 지나친 해석이고 규정이었다.

‘멀다’는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다’는 말이다. “버스 정류장이 멀다”고 하고, “백화점이 멀다”고 한다. 모두 물리적 공간이 많이 떨어져 있음을 가리킨다. 뿐만 아니라 ‘멀다’는 시간적인 간격이 많이 떨어져 있다는 것도 뜻한다. “동이 트려면 아직 멀었다”, “겨울은 아직 멀었다”에서 ‘멀다’는 시간적 거리를 나타낸다. “멀지 않아 그가 올 것이다”에서도 ‘멀다’는 시간이다.

그런데 ‘머지않다’라는 말이 생겨났다. 얼른 보아도 알 수 있듯이 ‘멀지+않다’에서 왔다. 시점이 그리 많이 남지 않았을 때 사용한다. 당연히 여기에 물리적 공간의 의미는 없다. 그러자 또 누군가 나섰다. “멀지 않아 그가 올 것이다”는 잘못된 표현이니 “머지않아 그가 올 것이다”로 고치라고 한다. ‘멀다’에는 시간적 의미도 있다. 역시 지나친 지적이다.

‘쫓다’와 ‘좇다’에는 ‘따르다’는 뜻이 있다. 차이는 물리적 움직임이냐 아니냐에 있다. ‘쫓다’는 물리적, ‘좇다’는 추상적 움직임을 가리킨다. “그를 쫓아 방으로 들어갔다”, “관습을 좇다”처럼 쓴다. 그렇다고 이렇게 고정시키기는 어렵다. 경찰이 범인을 찾고 있다고 하자. 물리적인 움직임이 아니다. 그렇더라도 “경찰은 용의자를 쫓고(찾고) 있다”고 한다. 유연한 쓰임이다.

wlee@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