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주저하는 혁신가’의 한계[김세웅의 공기 반, 먼지 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아일보

일러스트레이션 박초희 기자 choky@donga.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김세웅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폴 로머 미국 뉴욕대 교수는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이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라는 이론을 1990년대 중반 주창한 공로로 2018년 노벨 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이 이야기를 들으면 많은 사람들은 어떻게 그런 당연한 주장으로 노벨상을 받나 하는 의구심이 들 수도 있겠다. 하지만 로머 교수 이전 학계에서의 경제 발전은 자본과 노동력의 투입, 이 두 가지로만 정의된 것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그는 1990년대 이미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정보통신기술 주도의 경제성장을 예측한 공로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의 접목은 노동을 이용한 제품의 생산보다 훨씬 더 큰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 형태가 되고 있다. 로머 교수는 이러한 이유로 지식재산권과 특허를 제도적으로 잘 정착시키는 것이 국가의 경제성장에 필수라고 강조한다.

미국 뉴스 채널에서 최근 미국의 혼란에서 1960년대 후반을 떠올리는 논평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당시 미국은 마틴 루서 킹 목사의 암살과 베트남전 등 정치 외교적 문제뿐 아니라 수질 및 대기질 악화 등 환경 문제도 최악에 이르는 상황까지 겪었다. 이 당시 미국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됐던 승용차에 관련한 특허 전쟁이 벌어진다. 유진 후드리는 1930년 일산화탄소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배출을 엔진에 무리 없이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는 촉매변환장치를 개발해 1956년 미 정부의 특허권을 받게 된다. 당시 극심한 스모그에 시달렸던 캘리포니아에서 후드리의 촉매변환장치를 가장 먼저 시험했는데 엔진 노킹을 방지하기 위해 납을 첨가한 유연 휘발유로 인해 이 장치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지적됐다.

문제는 이러한 납 첨가제의 특허를 당시 세계 제일의 자동차 생산회사였던 미국의 GM이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디트로이트를 주름잡던 미국 자동차 3사는 촉매변환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납 첨가제를 더 이상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에 강하게 반대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해 리 아이어코카 당시 포드 부회장은 “(촉매변환장치 설치는) 자동차 값을 엄청나게 올릴 것이다. (납 첨가제 사용 금지는) 미국 산업 전체에 악영향을 줘 미국 경제에 되돌릴 수 없는 피해를 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GM 회장을 지낸 애드 콜(1967∼74년 재임)은 GM에서 엔지니어로 승진한 이력을 가지고 있어 기술을 통한 혁신을 믿는 기업인이었다. 그는 주주들과 정유 회사들을 설득해 납 첨가제를 포기하고 촉매변환장치를 도입해 자동차의 친환경성을 높인 경영인으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일련의 자동차 발전사를 기술하며 환경전문 기자인 베스 가디너는 미국의 자동차 3사에 ‘주저하는 혁신가’라는 별명을 붙였다. 이들이 결단을 내렸다면 빠르게 대기질이 좋아졌을 것이고,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구할 수 있었을 것이다. 마지못해 혁신을 수용한 미국의 자동차 회사들은 1970년대 후반 오일 쇼크를 지나 1980년대 들어 신기술로 중무장한 일본차 회사들에 맥없이 무너지고 말았다.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실험실에서 제한적으로 성공한 기술을 바탕으로 대기 중 미세먼지를 제거하겠다는 포부를 밝히는 인터뷰도 종종 읽는다. 하지만 우리가 먼저 검증된 기술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전기 생산 비중을 살펴보면 대기오염 물질을 가장 많이 배출하는 석탄화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여전히 높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전기차도 아파트 생활을 하는 대부분의 국민에게 아직 언감생심인 경우가 많다. 애플의 창업자 스티브 잡스는 2005년 스탠퍼드대 졸업식에서 “점을 연결하라”고 했다. 혁신은 우리가 이미 가지고 있는 흩어져 있는 지식과 기술을 효과적으로 종합하는, 즉 점을 연결해 완성된 그림을 만드는 아이들의 퍼즐 같은 것이라는 통찰이다. ‘주저하는 혁신가’만큼이나 ‘실속 없는 공상가’ 또한 문제 해결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김세웅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skim.aq.2019@gmail.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