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7 (일)

군함도 역사왜곡 문제에 …日언론조차 "약속 안 지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5년 세계문화유산 등재 당시 "가해역사 알리겠다" 약속

올해 개관한 센터에서는 "가해사실 없었다" 주민증언만

아사히 "일본공문서에도 명시된 사실…負의 역사 직시해야"

이데일리

△아사히신문 9일자 ‘세계문화유산 대립, 부(負)의 역사를 직시해야만’이라는 제목의 사설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일본 언론에서도 일본정부가 나가사키현 하시마, 일명 ‘군함도’(軍艦島)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신청할 때 했던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9일자 신문 사설에서 “5년 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메이지일본 산업혁명 유산’에 대한 전시를 놓고 한국과 일본의 마찰이 일어나고 있는” 이유로 “전시 중 징용피해자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일본이 충분한 대응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일본은 군함도와 후쿠오카현 미이케 탄광, 야하타 제철소 등을 일본의 근대화를 이끈 23개 산업유산이라며 2015년 7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 당시 우리나라는 일본의 근대화의 이면에는 징용돼 제대로 된 대우도 받지 못한 수많은 한반도 노동자가 있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런 유산들이 근대화 유산으로만 기록되면 일본이 제국주의 시대 당시 자행했던 가해의 역사가 잊혀질 것이란 우려였다.

당시 일본 측은 우리나라 등 국제사회를 설득하기 위해 이같은 가해의 역사를 충실히 기록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사히 역시 “세계문화유산을 등록할 때, 일본 정부 대표는 세계유산위원회에 ‘의사에 반해 (군함도에) 끌려오거나, 혹독한 환경에서 일해야 했던 많은 조선반도 출신 사람들이 있다’고 증언했다. 여기에 시설 설치 등 ‘희생자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이후 일본은 올해 도쿄도 신주쿠구 총무성 별관 ‘산업유산 정보센터’를 개관하고 약속을 지켰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센터에는 강제로 끌려와 혹독한 노동환경에 놓였던 이들에 대한 설명은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센터에는 “조선반도 출신 노동자에 대한 차별 등은 없었다”는 군함도 전 주민의 인터뷰가 흘러나오고 있다.

이를 놓고 우리나라는 강력하게 항의하며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취소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일본은 약속을 파기한 사실을 부인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언론조차 이같은 일본 정부의 주장이 이치에 맞지 않다며 지적하고 나선 셈이다.

아사히는 “센터에 따르면 증언은 앞으로도 늘려나갈 방침이나, 지금까지 면담한 전 주민들로부터 차별이나 학대를 인정한 증언은 없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당시의 상황을 아는 사람들의 증언은 귀중하다”면서도 “그러나 개인의 체험의 증언을 내세우는 것만으로는 역사 전체상을 파악할 수 없다”고 밝혔다.

아울러 아사히는 “조선반도 출신자의 노무동원에 폭력이 가해졌거나 과도한 노동에 시달렸다는 것은 당시 (일본)정부의 공문서로 판명된 사실이며 일본의 법원에서도 피해사실을 인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런 사실을 충분히 설명하고 당시의 국가정책 전체상을 기술하는 것이 올바른 전시라고 할 수 있다”며 “센터는 전문가들 회의를 통해 전시 내용을 결정했다하지만, 현 상황에서는 약속을 지켰다고 볼 수 없다”고 꼬집었다.

아사히는 “유산의 가치를 세계가 인정했다고 해서 특정한 역사인식이 인정받았다는 것은 아니다. 어떤 나라도 역사에 빛과 그림자가 있고 인근 국가와의 관계도 복잡하다”면서 “명암을 따지지 않고 역사적 사실을 겸허히 직시하며 미래를 생각하는 책임이 있는 것은 일본도 한국도 마찬가지다”라고 강조했다.

매체는 “메이지 이후 일본은 수많은 노력과 희생으로 눈부신 공업화를 이뤄쟀다. 부정적인 측면은 보지 않는다면 유산의 가치는 사라질 것”이라고 일침했
이데일리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안과에 ‘더불어민주당 100인이 함께한 일본의 군함도 역사 왜곡 규탄 결의안’을 제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