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레이더P] 민주당 `2중대 딱지`는 안녕…`진보야당` 본색 드러낸 정의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국 사태 때 더불어민주당 편을 들면서 '2중대' 딱지가 붙었던 정의당이 연일 민주당과 각을 세우고 있다. 4·15 총선에서 참패를 거둔 뒤 당 쇄신에 나선 성과가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는 평가다.

지난 7일 정의당은 176석의 거대 여당인 민주당이 외면한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해 거리에 나섰다.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역 근처에서 심상정 대표, 배진교 원내대표 등 정의당 지도부는 차별금지법에 대한 시민들의 지지를 호소하기 위해 총출동했다. 배 원내대표는 "차별금지법을 함께 제정하는 것이 고 노무현 대통령의 정신을 잇는 길이기에 민주당이 적극 화답해주시길 당부한다"며 보수 개신교계 눈치를 보는 민주당을 비판했다. 이처럼 정의당은 민주당이 미처 나서지 못하는 사각지대까지 챙기며 진보야당으로서 역할에 충실하겠다는 방침이다.

정의당은 '범여권'이라는 표현을 거부하며 민주당과 선을 긋기도 했다. 김종철 정의당 선임대변인은 지난 3일 기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 "진보 야당 정의당, 진보정당 정의당이라는 더 정확한 범주로 정의당을 지칭해 달라"고 요청했다. 김 대변인은 "정의당은 지난 총선에서도 여당의 비례 위성 정당 참여를 거부했다"며 "최근에는 부동산 정책, 추미애 법무부 장관 등의 행보, 졸속 추경심사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정부와 여당의 문제를 비판하고 있다"고 민주당과 차별성을 강조했다.

실제로 같은 날 정의당 의원들은 민주당 주도로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3차 추가경정예산안 의결에 전원 기권표를 던졌다. 배 원내대표는 의결에 앞서 의사진행발언에서 민주당을 겨냥해 "청와대가 정한 데드라인 지키기 위해 35조원을 제대로 심의 않는 건 국회 존재 이유 망각한 행위"라며 "내용을 모르는데 어떻게 찬성할 수 있고, 시급한 민생 위한 추경인데 어떻게 반대할 수 있나"라고 꼬집었다. 7일 열린 상무위원회에서도 배 원내대표는 "대학생들의 고통에 공감한다는 민주당은 등록금 반환이라고는 도저히 말할 수 없는 수준의 사업비가 포함된 3차 추경 예산을 통과시켰다"고 국민에게 부끄럽다고 말했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윤석열 검찰총장을 조롱하는 듯한 발언을 하자 정의당은 논평을 내 "전형적인 '꼰대' 스타일"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정의당은 지난달 26일 "국민들이 심각하게 바라보는 검찰개혁 문제를 이렇게 수준 낮게 표현하는 것은 검찰개혁의 문제를 두 사람의 알력싸움으로 비치게 만든다"며 "오히려 자신의 지시가 정당하다면 왜 장관이 직접 나서서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는지, 그러한 지시를 지키지 않는 검찰이 왜 문제인지를 어느 공간에서든 차분히 설명하는 것이 옳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같은 정의당의 변화 배경에는 총선 참패 후 이뤄진 반성이 있다. 총선 직후 정의당 싱크탱크인 정의정책연구소는 "새로운 담론으로 기성 정치를 깨우는 역할을 포기하고 기득권 정당으로부터 지대를 할당받으려는 마름 정당을 지향했다"며 "조 전 장관에 대한 옹호로 민주당의 2중대로 변질됐다"고 작심 비판했다. 또 지도부로부터 전권을 받은 혁신위원회는 지도체제를 비롯한 정의당 쇄신에 잰걸음을 내고 있다. 지난 달 26일 강민진 혁신위원은 "기득권 입장과 진보 입장 사이에서 널뛰는 집권세력의 실책을 더 강하게 비판하고 교정하지 않으면, 국회 담장 밖의 사람들을 대변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배 원내대표는 매일경제와 통화에서 "정의당의 존재이유는 거대 여당이 개혁을 정말 잘 할 수 있는지, 방향은 맞는 것인지 목소리를 내야 하는 데 있다"며 "국민들도 진보 야당으로서 정의당이 그 역할을 하라고 총선에서 10%의 높은 지지율을 줬다"도 말했다. 그는 "정의당은 정의당의 길을 갈 것이고 과거 20대 국회 때처럼 특수한 상황 속에서 민주당과 함께 했던 과정은 끝났다"며 "진보 야당 역할에 충실해야 하는 게 앞으로의 문제"라고 설명했다.

[최예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