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11월로 예정된 미국 대선 이전 '제3차 미·북정상회담' 카드를 꺼내들며 꽉 막힌 한반도 대화 정세에 대한 돌파 의지를 공식화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2월 하노이 미·북정상회담 결렬로 동력을 잃었던 미·북 대화 중재자론에 다시 시동을 걸며 "어렵게 이룬 남북관계의 성과를 다시 뒤로 돌릴 수 없다"는 메시지를 던졌다. 일단은 미국도 북한과 대화에 여전히 열려 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어 최근 북한의 위협으로 냉각된 한반도 정세가 올해 하반기 '대결에서 대화로' 또 한번 급물살을 탈 수 있을지 주목된다.
1일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 같은 문 대통령 발언을 전하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미·북정상회담에 대한) 생각은 이미 미국 측에 전달됐고, 미국 측도 공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 발언은 지난달 30일 한·유럽연합(EU) 정상회담에서 나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관계자는 제3차 미·북정상회담에 대한 문 대통령 생각이 미국 측에 전달된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북한의) 개성연락사무소 폭파 이후"라고 답변했다. 이 같은 설명을 고려하면 정부는 지난달 17일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한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물론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간 연락 등을 통해 입장을 전한 것으로 관측된다.
문 대통령이 미·북 대화 중재자론에 다시 불을 지핀 것은 오는 11월 미국 대선 이전 시기를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추진을 위한 '골든타임'으로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이 다시 들고나온 미·북 대화 중재자론은 여러 측면에서 '하노이 노딜' 이전의 그것과는 차이점이 있다.
문 대통령이 하노이 미·북정상회담 이전에 추구했던 중재자론은 스스로를 드러내지 않으며 성공적인 미·북 대화를 이끌어내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이번에 재추진 방침을 천명한 '중재자론 2.0'은 한국이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당사자'로도 뛰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적극적인 대북·대미 대화 전략을 펼치고 나선 문 대통령이 대북·외교안보 라인을 언제, 어떻게 새롭게 꾸릴지도 관심사다. 일단 공석이 된 신임 통일부 장관에는 중량급 현역 국회의원인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탁될 것으로 굳어지는 분위기다. 이르면 이번주 안에라도 문 대통령이 이 의원을 신임 통일부 장관 후보자로 발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문 대통령은 다소간 시차를 두고 문재인정부 원년 멤버인 정 안보실장 등도 교체할 것이 확실시된다. 문 대통령이 남·북·미 간 정보라인 수장인 서훈 국가정보원장을 청와대로 불러들여 안보실장에 임명한다면 후속 인사 규모가 더욱 커질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가운데 미국은 재차 북한을 향해 도발을 자제하고 대화 테이블로 복귀할 것을 요구했다.
오브라이언 보좌관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싱크탱크 국익연구소가 마련한 한국전쟁 70주년 관련 영상 세미나에 기조연설자로 참석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대로 미국은 북한이 김정은 위원장 리더십 아래에서 밝은 경제적 미래를 성취하는 것을 보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실질적 진전은 더뎌졌으나 대화와 진전을 위한 문은 여전히 열려 있다"며 대화 의지를 재확인했다. 이는 미국이 북한의 레짐 교체를 원치 않으며 대화를 통해 핵 문제를 해소한다는 방침에 변화가 없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이어 "우리는 북한이 도발을 피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결의한 의무를 준수하며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협상으로 복귀할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워싱턴 = 신헌철 특파원 / 서울 = 김성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