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예고한대로 개성 남북연락사무소 폭파를 실행에 옮기는 등 김 제1부부장의 급부상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 이상설을 또다시 불러일으킬 만한 '변화'라는 분석이 나왔다.
워싱턴포스트(WP)는 16일(현지시간) 김 제1부부장이 이달 초 사실상 김 위원장 '대행'으로 공식 승격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김 제1부부장이 2018년 한반도 평화 및 북핵 프로그램 해결 과정에서 메신저 역할을 한 지 2년여 만에 남북관계 단절의 선봉장이 됐다고 봤다.
WP는 "김 제1부부부장의 부상은 김 위원장이 아프다는 확실한 증거가 없음에도 그의 건강이 최상의 상태가 아니라는 추측에 새로운 불을 지피는 깜짝 놀랄만한 변화"라고 평가했다.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는 WP에 김 위원장이 4월11일 이후 관영매체에 단 3번 등장한 것을 두고 "김 위원장의 건강에 뭔가 문제가 있다"며 "그럴수록 대행이 중요한데 그게 누구겠나. 권력을 독점하지 않을 누구 뿐이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래 권력 승계자가 어리다면, 믿을만하고 배신하지 않을 남매를 택하는 게 김 위원장 일가에서는 이미 확립된 전통"이라고 부연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사진=로이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레이첼 민영 리 전 미국 정부 북한 분석가는 WP에 "북한 관영 매체가 김 제1부부장의 발언을 기사와 집회, 인민 반응의 평균으로 내세워 이례적으로 명확한 입장을 보였다"면서 "이는 다른 비非백두혈통 지도자에 비해 김 제1부부장의 위상을 높이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그는 "(북한 조치는) 김 제1부부장에 대한 평가를 북한 지도자의 여동생이 아니라 독립된 정책 입안자로 변모케 했다"고도 설명했다.
브루스 클링너 미국 싱크탱크 헤리티지재단 북아시아전문가는 "김 제1부부장의 부상이 김 위원장의 건강 이상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면서 김 위원장이 2008년 부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뇌졸증으로 쓰러진 뒤 권력 승계 작업에 돌입했던 사실을 언급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달 3주간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중병설과 사망설이 돌았다.
다만 그는 김 위원장이 공식 석상에서 사라졌던 게 건강 이상 때문이라는 증거는 없다면서 "김 위원장이 공식석상에 복귀했을 때 허약하기 보다는 생기 있어 보였다. 물론 건강한 모습은 아니었고 여전히 병적으로 뚱뚱했다"고 했다.
일부는 김 제1부부장의 강경 발언이 북한 내부의 정치적 우선 순위를 반영한 것뿐이라고 본다. 북한 정권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위협을 느끼고 긴장을 늦추려 하자 김 제1부부장은 평창 동계올림픽을 위해 한국에 방문, 친근하고 덜 위협적인 이미지를 내비쳤다는 것이다.
란코프 교수는 "북한은 현재 위협 수위를 높여 남한으로부터 더 많은 양보를 얻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김 제1부부장은 전 세계에 매우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13일 김 제1부부장은 담화를 내놓고 "다음번 대적 행동의 행사권은 우리 군대 총참모부에 넘겨주려고 한다"며 "우리 군대 역시 인민들의 분노를 다소나마 식혀줄 그 무엇인가를 결심하고 단행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군사행동을 예고했고 16일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다.
임소연 기자 goatlim@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