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G7 정상회담

美, G11 이어…韓에 `反中 경제블록` 참여 압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이 '반중 경제블록 구상'인 경제 번영 네트워크(EPN)에 한국이 가입해줄 것을 5일 재차 요청하고 나섰다. 주요 7개국(G7) 확장판인 'G7+알파' 초청에 이어 연일 한국을 중국 견제 파트너로 간주하고 있어 우리 정부의 선택에 관심이 쏠린다. 외교부는 이날 오전 이태호 2차관이 키스 크라크 미국 국무부 경제차관과 전화 통화를 했다고 밝혔다. 크라크 차관은 EPN을 포함해 미국이 현재 구상 중인 세계 경제안보 체제 등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양측은 앞으로 지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또 양측은 EPN 등에 대한 본격 논의를 위해 하반기에 5차 한미 고위급 경제협의회(SED)를 열기로 하고 사전 준비 격인 국장급 협의를 이달 말 영상회의 방식으로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SED는 연례로 개최되는 차관급 협의체다. EPN은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겠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으며 한국, 미국, 일본, 호주, 인도, 베트남 등이 참여국으로 거론된다. 크라크 차관은 지난해 11월 서울에서 열린 4차 SED에서 이러한 구상을 이미 언급했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은 EPN과 G7+알파 구상에 모두 중국의 참여를 요청하지 않았다. 오히려 기존 G7에 한국을 비롯해 호주, 러시아, 인도 등 중국을 둘러싸고 있는 국가에 참여를 요청하는 등 '반중 연대' 정체성을 명확히 하는 모습이다. 외교부는 "크라크 차관이 지난 1일 한미 정상 전화 통화에서 한국이 미국의 G7 정상회의 초청을 수락한 데 사의를 표했으며 '관계국 간 협의를 통해 좋은 결실을 보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정부는 현재로서는 모호한 태도를 유지하며 외교부 내 미·중 갈등 전담 조직인 '전략조정지원반' 상설화를 추진하는 등 대비 태세를 갖추는 데 집중하고 있다. 외교부는 지난달 말 미국이 한국의 EPN 참여를 희망한다고 공식적으로 밝히자 "아직 초기 구상 단계이며 공식 요청은 없는 상태"라는 의견을 내놨다. 그러나 이달 말 국장급 협의와 하반기 SED를 거치며 이러한 제안도 보다 구체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안정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