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생활속 거리두기’ 시행 한 달…“수도권 대유행 대비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근 2주간 신규 확진자 96%가 수도권

감염경로 파악 안 된 경우도 9%에 달해

감시체계 작동 못하면 디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헤럴드경제

1일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이 안전 개장했다. 올해 코로나19로 6월 조기 개장을 포기한 부산 해운대·송정 해수욕장은 찾아오는 피서객의 물놀이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안전관리 요원을 배치하는 안전개장을 오늘부터 실시한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지난 달 6일부터 시행된 ‘생활속 거리두기’가 한 달을 맞았다. 하지만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산발적인 감염 사례가 지속되면서 또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전환해야 하는게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제2차 대유행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고 사회적 거리두기에 가까운 방역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4일 0시 기준 총 누적 확진자는 1만1629명이다. 특히 최근 2주간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집단발병이 71.8%(364명)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감염 경로를 조사 중인 사례도 8.9%(45명)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에 발생하고 있는 지역집단발병은 이태원 클럽, 경기 부천 쿠팡 물류센터, 개척교회 등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다. 지역집단발병 96.2%(350명)가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했다.

전문가들은 인구 절반에 해당하는 2600만명이 거주하고 주요 시설이 모여 있는 수도권에서 확산세를 잡지 못하면 언제든 전국으로 다시 퍼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수도권 지역 확진자를 조기 발견해 추가 전파를 막을 수 있는 더욱 정밀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환자 급증에 대비해 의료체계도 사전에 철저히 정비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생활속 거리두기로 방역대응 체계를 전환한 만큼 최근 확진자가 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일각에서는 ‘2차 대유행’이 올 수도 있다고 하지만 수도권에서는 아직 ‘1차 대유행’이 오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조용한 전파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최근 2주간 확진자 중 감염경로가 아직 파악되지 않은 환자는 9%에 달한다. 이들이 언제 어디서 어떤 경로로 감염됐는지 정확히 파악되지 않으면 지금과 같은 산발적인 지역감염 사례는 계속될 수 있다.

천병철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사람이 어느 정도 모이는 것을 허용하는 생활속 거리두기 방역 체계에서는 확진자가 어느 정도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문제는 확진자 발생에 대한 감시(모니터링) 체계를 제대로 갖추고 이를 통제하고 있느냐 하는 것”이라며 “이 감시체계가 생활속 거리두기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수도권은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이미 산발적인 지역감염 사례가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지금 불길을 잡지 않으면 또 다시 대유행이 올 수 있다는 것이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수도권에서는 대유행까지는 아니지만 현재 유행이 진행 중이라고 본다”며 “이런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수도권은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로 돌아가야 한다. 바이러스에 변이가 생겨서 전파력이 빨라진 게 아니라, 생활속 거리두기를 하면서 사람들의 경각심이 느슨해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도 “수도권은 인구가 많고 접촉자 수도 많아 코로나19가 더 빨리 번질 수 있다. 확산을 막기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며 “현재 수도권에 한해 방역조치를 강화했지만 앞으로 이런 확산세가 잡히지 않는다면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ikson@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