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아주대의료원, 동국제약·올리패스 등과 공동 연구 통해 신기술개발 매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재생 및 생체재료·뇌과학 등 분야도 다양

쿠키뉴스


[쿠키뉴스] 노상우 기자 =아주대의료원이 최근 신기술개발 사업을 위한 산학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공동 연구를 잇달아 시작했다.

의료원은 지난 3월 동국제약과 학술교류 및 연구개발 등 사업화 및 산학협력의 동반 성과창출을 위한 상호 간 업무협력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의 일환으로 양 기관은 재생 및 생체재료 분야에서 혁신적 의학 연구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동국제약은 중앙연구소를 설립하고 R&D에도 매진해 생물유래 기반 바이오 소재를 응용한 생체 조직재생 및 수복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신유섭 아주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팀은 다양한 지지체를 활용한 조직재생 구조체,줄기세포치료제 기능강화 생체재료,안면결손 복원을 위한 인공 구조체 등 재생 및 생체재료 분야 연구에 주력해 다양한 신기술을 보유하면서 이번 공동 연구를 통해 의미있는 성과물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아주대의료원은 지난 1월 올리패스와 산학협력 MOU 협약을 시작으로 숙련된 연구 인력의 제공과 청년 고용의 상생 모델을 실천하고 있다. 양 기관은 이번 공동 연구를 통해 중추신경계 질환 관련 신약개발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한 기초 연구 및 유효성 평가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올리패스는 세포 투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OliPass Peptide Nucleic Acid (OPNA)란 독자적 RNA 치료제 플랫폼 기술을 보유해 호주, 영국 등 해외에서 신약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에 주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추신경계 질환 관련 신약개발 파이프라인 확보의 일환으로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원인 단백질인 타우(Tau)를 타겟으로 하는 기초 연구를 진행 중으로, 향후 아주대의료원과 유효성 평가 등의 협력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김병곤 아주대의료원 뇌과학과 교수팀은 뇌졸중,척수 손상 등 중추신경계질환과 관련해 기초 연구부터 임상 치료까지 아우르는 세계적인 석학으로 손상된 신경세포 축삭 재생에 영향을 주는 IGF-1, CCL2, TLR2 등 여러 인자를 동정하고, 면역세포와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신경 재생 치료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번 공동 연구로 손상된 신경세포에 약물 투과성 향상과 RNA 활성 조절 기술을 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의료원은 의료원의 오랜 연구 경험과 올리패스가 보유하고 있는 특화된 기술이 결합하여 앞으로 어떤 시너지 효과를 낼지 또한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nswreal@kukinews.com

쿠키뉴스 노상우 nswreal@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