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남산 약수곡 제4사지에서 발견된 불상의 머리./제공=경주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주/아시아투데이 장경국 기자 =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이 조사 중인 경북 경주시 남산 약수곡 제4사지에서 통일신라시대 석불좌상에서 분리된 것으로 보이는 불상의 머리가 발견됐다.
3일 경주시에 따르면 이번 발굴조사는 경주 남산 약수곡(석조여래좌상절터) 경역에 방치돼 있는 석불좌상을 보수 정비하기 위한 전단계로 석조여래좌상의 원위치를 확인하고 주변을 정비하기 위해 실시했다.
일제강점기 때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경주 남산의 불적’에 소개돼 있는 석조여래좌상은 본래 있던 위치(미확인)에서 옮겨진 상태로 반듯하게 놓여 있었으며 그 옆에 불상의 중대석과 상대석이 불안정한 상태로 노출돼 있었다. 불상의 하대석도 원위치에서 움직여 동남쪽 위에 있는 큰 바위 아래에 바로 놓여 있다.
불상의 머리가 떨어져 나간 기존 석조여래좌상 모습./제공=경주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불두는 큰 바위 서쪽인 하대석 서쪽 옆의 땅속에 묻힌 상태로 머리는 땅속을 향하고 얼굴은 서쪽을 바라보고 있는 상태였으며 안면 오른쪽 일부와 오른쪽 귀 일부에서는 금박이 관찰됐다.
미간사이의 백호를 장식했던 둥근 수정은 떨어진 채 불두 인근에서 같이 발견됐다. 통일신라시대 석조불상의 원형을 고증하는 데 있어 중요한 학술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불두 주변에서는 소형 청동탑, 소형 탄생불상 등도 함께 출토됐다.
머리가 유실된 석조여래좌상은 통일신라 후기 작품으로 경주 석굴암 본존불상과 같이 항마촉지인 도상을 하고 있다. 통일신라 석불좌상의 대좌(불상을 놓는 대)는 상당수가 팔각형으로 조성된 것에 비해 이 불상의 대좌는 방형(사각형)으로 조각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방형대좌는 최근 경주 이거사지 출토품으로 알려진 청와대 안 녹지원 석불좌상과도 동일한 형식이다.
항마촉지인은 석가모니가 마귀의 무리를 항복시키는 인상(印相). 왼손은 펴서 손바닥이 위로 향하게 단전에 올려놓고 오른손은 펴서 무릎 아래로 땅을 가리키는 모습이다. 싯타르타 태자가 깨달음을 얻어 붓다가 되는 순간의 모습을 상징한다.
이번 조사구역에서는 시기를 달리 하는 두 개의 건물터 층이 위아래로 겹쳐진 채 확인되기도 했다. 윗 층에서는 고려시대 기와가 출토됐으며 북쪽에 자리한 마애대불과 같은 시기의 것이다.
석불좌상과 동시대 층인 아래층에서는 통일신라시대 평기와가 주로 출토되고 있으며 여러 점의 연화보상화문수막새와 암막새도 함께 확인됐다. 이 외에도 주변에서는 통일신라시대 건물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공석 등도 함께 발굴됐다.
이번에 발견한 불두에 대해서는 통일신라 석조불상·마애불상의 개금(改金, 불상에 금칠을 다시 함)과 채색 여부에 대한 학술적인 논의를 포함해 추가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에 찾은 불두와 석불좌상을 복원하고 주변도 정비키로 했다.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이번 발굴한 통일신라시대 석불좌상 불두를 오는 10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경주시 현곡면 가삼골 1길 19-10 (신라문화유산연구원 보존처리연구동)에서 공개한 후 보존처리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