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순경 수험생들 갑론을박 일으킨 그 문제…"복수정답 인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찰관을 꿈꾸는 수험생들 사이에서 고려 역사와 관련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논란은 지난달 30일 약 5만명의 수험생이 전국 98개 시험장에서 치른 순경 공개채용 필기시험에서 비롯됐습니다.

오늘(2일) 경찰청에 따르면 당시 한국사 시험에서는 '고려 시대의 역사적 사실들을 오래된 것부터 바르게 나열한 것은?'이라는 문제와 함께 '㉠ 팔만대장경 완성 ㉡ 삼국유사 편찬 ㉢ 향약구급방 간행 ㉣ 황룡사 9층 목탑 소실'이라는 예시가 제시됐습니다.

팔만대장경은 1251년 완성됐습니다. 삼국유사는 승려 일연이 1281년 편찬했습니다. 황룡사 9층 목탑은 고려가 몽골과 전쟁 중이던 1238년 불탔습니다.

문제는 고려 시대 의약서인 향약구급방의 간행 연도입니다.

이 책은 고려의 제23대 왕인 고종 재위 기간(1213∼1259년)에 인쇄된 것으로 전해집니다. 많은 교재와 백과사전 등은 이 책이 1236년 제작됐다고 소개합니다.

경찰청으로부터 한국사 시험 출제를 의뢰받은 교수들도 향약구급방이 1236년에 간행됐다고 보고 문제를 낸 것으로 보입니다.

이 경우 '㉢-㉣-㉠-㉡'인 3번이 정답입니다. 경찰청도 3번이 정답이라고 공개했습니다.

하지만 곧바로 많은 수험생이 '향약구급방의 간행 연도는 불확실하다'며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경찰청은 문제를 낸 교수들과 상의한 끝에 이런 이의 제기가 타당하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결국 3번과 함께 ㉣-㉠-㉢-㉡인 4번도 정답으로 인정됐습니다.

경찰청 관계자는 "교수님들이 충분히 검토한 뒤 출제했지만, 향약구급방과 관련해 다양한 이론과 연구 결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무엇보다 시험의 기본으로 삼은 국정 교과서에 정확한 연도가 나와 있지 않다"고 배경을 전했습니다.

애초에 3번을 정답으로 고른 수험생들은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한 수험생은 "경찰청이 근거도 없는 소수설을 받아들여 복수 정답으로 처리하면서 나 같은 수험생은 필기시험에서 떨어질 위기에 놓였다"고 말했습니다.

반면 수험생들이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경찰청이 올바른 결정을 내렸다는 반론도 적지 않습니다.

필기시험 합격자는 모레(4일) 발표됩니다. 최종합격자는 이후 체력시험, 적성검사, 면접시험 등을 거쳐 8월 7일 결정합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