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감염 상황은 안정세일까?...지금 가장 활발하게 늘고 있는 곳은 어디일까? 코로나19 사태, 언제쯤 끝날까?..."코로나19 팬데믹,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지난달 23~25일 미국의 현충일인 메모리얼데이 연휴 기간 동안 두 달 가까이 집에 갇혀 있었던 미국인들도 야외 나들이를 나왔다. 이날 미국 미주리주의 유명 관광지인 오자크 호수의 수영장과 야외 바와 플로리다주의 해변에선 자택 피신에 지쳤던 젊은이들이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거리두기를 지키지 않은 채 광란의 파티를 열었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세계 곳곳이 봉쇄령에 두 달가량 공포의 시간이 지나가고, 각국은 통행 제한 등의 코로나 제재를 완화하고 정상 생활 복귀에 나섰다. 지금의 세계는 과연 그만큼 코로나19 감염증에 안전해진 것일까.
Journalists wearing protective face masks are seen at Rome's ancient Colosseum as it is being reopened with social distancing and hygiene measures in place after months of closure due to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in Rome, Italy June 1, 2020. REUTERS/Yara Nardi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Q. 전 세계 코로나19 감염 상황은 안정세인가요?
A. 아니다. 여전히 코로나19의 전세계 추세는 늘고 있다.
세계 통계 서비스 사이트 월드오미터스에 따르면, 한국시간 1일 오후 6시까지 전 세계에서는 628만1738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고, 37만4229명이 사망했다. 하루 신규 확진자 수도 지난달 20일 처음으로 10만명을 넘긴 이후, 여전히 10만명 안팎에서 12만명까지도 오락가락하고 있다.
다만, 앞서 확산세가 심각하게 급등했던 동아시아나 유럽 등의 지역에서 최악의 상황이 지나가고 경제 충격을 우려해 각지에서 봉쇄 완화에 나서곤 있지만, 여전히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주요 국가 코로나19 확진 사례 현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Q. 지금 가장 활발하게 늘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요?
A. 브라질 등 남미 지역과 러시아 등이다.
유럽과 동아시아 지역은 강력한 방역 지침 준수 등을 통해 급등하는 확산세를 대부분 잡은 상태다. 이후 코로나19 중심 확산지였던 미국은 두 달간의 강력한 봉쇄령 끝에 하늘로 치솟는 증가 곡선을 잡아내며 비교적 안정세에 들어섰다. 다만, 50개 주별로 여전히 신규 감염자가 이어지며 미국의 증가 그래프는 완전히 꺾이진 못했다.
현재 상황에선 브라질을 비롯한 중남미 국가와 러시아·인도 등 인구 대국에서 폭증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들 국가를 놓고 일부 감염병 전문가들은 전 세계 감염 현황이 아직도 발병 본격화 단계에서 탈출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월드오미터스 기준 러시아의 누적 확진자 수는 미국(183만7170명)과 브라질(51만4992명)에 이어 세계 3번째다.
최근 남미 대륙의 확진자 수는 100만명에 육박한 가운데 이 중 절반을 차지한 브라질의 상황도 매우 심각하다. 브라질은 지난 2월 26일 첫 확진자가 보고된 이후 빠른 속도로 확산하면서 지난달 22일부터는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확산국에 올라섰다.
지난달 31일 브라질 보건부에 따르면 이날까지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전날보다 1만6409명 증가한 51만4849명을 기록했다. 브라질의 신규 확진자 증가 폭은 지난 28일부터 전날까지 사흘 연속 최대 기록을 경신하기도 했다.
특히 브라질의 방역 실패는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의 탓이 크다. 그는 코로나19 사태 초기부터 감염병의 위험성을 과소평가하며 "브라질에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혀 필요하지 않다" 등의 막말과 기행을 일삼아왔다. 결국 그는 현재 탄핵 위기에 처해 있다.
비즈니스인사이더는 보건 전문가들을 인용해 미국·브라질·러시아가 전세계 코로나19 확산세 1~3위를 차지하고 있는 이유는 "과학을 경시하는 동시에 눈 가리고 아웅하는 타조식 리더십"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들이 코로나 대유행 초기부터 보건 전문가들의 조언을 무시하고 현실을 외면하는 정치적 태도를 유지해왔다는 것이다.
로렌스 고스틴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교수는 "이들 국가의 지도자들은 국가주의적인 성향이 강한 데다 과학을 경시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무시하는 태도를 일관하면서 코로나 사태를 제어하는 데 실패했다"면서 "그 결과 유행 초기에 발 빠르게 진단 검사를 대규모로 시행하고 감염자 동선을 추적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조처를 했어야 했지만 그러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A. 백신과 치료제가 나올 때까진 완전히 코로나19 사태를 종식하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WHO는 최대 2~3년을 코로나19와 함께 살아갈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최근 각국의 확산세 안정은 그간 보건 당국이 시행해왔던 "매우 강력한 보건 조치 때문"이라는 게 WHO의 설명이다. 뒤집어 말하면, 강력한 이동제한령과 봉쇄 조치의 '빗장'이 풀리고 사람들의 이동이 늘어나는 순간 재확산도 얼마든지 가능해진다는 얘기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이어지고 있는 산발적인 신규 확진 발생 사례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난 1918년 스페인 독감 팬데믹 당시의 2차 유행이라는 역사적 사례와 같이 코로나19 팬데믹도 올가을이나 겨울 즈음 독감 유행 시기와 겹쳐 2차 유행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결국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백신이다. WHO는 현재 8종의 백신 후보 물질이 임상시험 단계에 돌입했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각국 정부와 전문가들은 이르면 내년 초 일반 접종을 목표로 백신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결국, 과학자들이 치료제와 백신을 서둘러 개발하는 동안 정부와 개인 모두는 바이러스가 잘 전파되는 환경을 차단하는 것이 코로나19 대응의 정석인 것이다. 말 그대로, 코로나19 팬데믹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FILE PHOTO: A nurse prepares a syringe containing an experimental Ebola virus vaccine next to a volunteer called Marie (L) during a media visit at the Lausanne University Hospital (CHUV) in Lausanne November 4, 2014. A trial is being conducted with a vaccine from GlaxoSmithKline among 120 healthy volunteers with support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he participants will be monitored for six months to determine both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 vaccine in the fight against the worst outbreak of Ebola on record which has killed nearly 5,000 people. REUTERS/Denis Balibouse/File Photo/2020-05-31 18:01:07/ <저작권자 ⓒ 1980-2020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지현 기자 tiipo@ajunews.com
최지현 tiipo@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