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드스트라이크…유리창 깨지거나 엔진 고장 원인 이륙 직후·착륙 직전 지상 2.5㎞ 이하 상공서 발생 조종실 특수 강화유리·조류 퇴치 요원 배치로 대비
산은·한국수출입은행, 대한항공에 1조2천억원 지원 결정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KDB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경영난에 시달리는 대한항공에 대해 1조2천억원을 지원하기로 최종적으로 결정한 26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주기장에 비행기가 세워져 있다. 2020.5.26 superdoo82@yna.co.kr/2020-05-26 15:18:32/ <저작권자 ⓒ 1980-2020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버드스트라이크(Bird Strike)'.
항공기가 공중에서 새와 충돌하거나 엔진 속에 빨려 들어가는 경우를 말합니다.
버드스트라이크로 인해 엔진 고장이 발생해 비행기가 추락하거나 불시착하는 사례가 종종 생기기도 하는데요.
Q. 버드스트라이크, 얼마나 치명적인가요
A. 조류 충돌과 관련된 연구 등에 따르면 무게 1.8㎏의 새가 시속 960㎞로 비행하는 항공기와 부딪치면 64t 무게의 충격을 주는 것과 같다고 합니다. 항공기에 새가 부딪히면 항공기 동체가 찌그러지고, 엔진 속에 빨려 들어가면 부품이 파손되기도 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 운항을 위협합니다. 심할 경우에는 유리창이 깨지거나 폭발이 일어나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Q. 얼마나 자주 발생하나요
A. 버드스트라이크는 공군 전투기뿐 아니라 여객용 항공기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요. 실제 국토교통부가 작성한 '국내 항공기·조류 충돌 현황'을 보면 2017년부터 작년 7월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버드스트라이크는 모두 1459건이나 됩니다.
Q. 어디서·언제 주로 발생하나요
버드스트라이크가 일어난 지역을 나누면 공항구역이 385건으로 26.4%를 차지합니다. 이 지역을 벗어나서 발생한 '공항구역 밖'의 조류 충돌은 303건으로 20.8%를 차지합니다. 절반이 넘는 771건(52.8%)은 어느 지역에서 새와 부딪혔는지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항공업계에서는 항공기가 1만m 정도의 상공에서 순항할 때는 고도가 높아 새와 충돌할 일이 없지만, 이륙 직후나 착륙 직전인 지상 2.5㎞ 이하의 상공에서는 비교적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합니다.
Q. 항공사들은 어떻게 대비하나요
A. 대한항공은 최근 자사 뉴스룸을 통해 버드스트라이크 대비 방안에 대해 설명했는데요. 우선 항공사들은 조종실 유리를 5~7겹으로 만들고, 특수 강화 유리를 사용해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 새가 엔진에 빨려들어가 엔진 한개가 고장 나더라도 안전 비행이 가능하도록 민항기들은 엔진 2~4개를 갖추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조종사들은 보다 안전한 운항을 위해 충돌 상태를 판단해 회항하거나, 이륙 전이라면 항공기를 교체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됩니다.
Q. 공항에서는 어떻게 대응하나요
A. 인천국제공항은 조류 퇴치 요원들이 교대로 근무하며 항공기 이착륙 구역의 야생동물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점검차량이 항공기의 이착륙이 이뤄지는 각 활주로 양쪽 말단에 배치돼 쉬지 않고 이동하며 조류의 서식 여부를 확인하고, 야생 동물을 유인하는 환경 요인 등도 함께 조사합니다.
또 새들이 고통받는 소리나 천적의 소리를 내는 경보기를 차량에 부착해 수시로 자리를 옮겨가며 가동시키고, 바람에 흔들리는 인형을 설치하기도 합니다.
조류 퇴치 요원들이 야생동물을 공포탄으로 쫓아내거나 엽총으로 직접 포획하기도 합니다. 또 공항 내는 물론 공항 밖에서도 조류 등 다른 동물 사육이나 이들의 먹이가 되는 작물재배도 엄격히 통제합니다.
대한항공은 "보다 효과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공항 당국과 지방 항공청, 항공사, 학계가 합동으로 세미나 등을 통해 과학적이고 총체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새나 기타 다른 야생동물들로 인해 항공기의 안전 운항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김지윤 기자 jiyun5177@ajunews.com
김지윤 jiyun5177@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