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이슈 화웨이와 국제사회

[2020 양회] 美 화웨이 제재에도 중국 5G 굴기 맹위, '5G 1등국가' 연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핌 베이징 = 최헌규 특파원] 중국의 5G 굴기가 코로나 19 사태를 거치면서 한층 맹위를 떨치고 있다. 미국의 화웨이 2차 제재에도 현재 진행중인 양회무대에서는 5G 굴기를 연호하는 목소리가 진동하고 있다.

5G는 코로나 기간중에도 방역 퇴치에 큰 기여를 했으며 연중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에서도 톡톡한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포스트 코로나19 경제 부양에서 5G를 신형 인프라 투자의 주요 항목으로 제시, 5G 보급 응용이 하반기 들어 한층 급물살을 탈 것이란 전망이다.

중국 통신원 자료에 따르면 2020년에서 부터 '중국제조 2025'의 원년인 2025년 까지 5G는 경제 성장에 10조6000억 위안(1800조)의 효과를 가져다줄 전망이다. 간접 효과까지 합하면 약 24조8000억위안에 달할 것이라는 추산이다. 전문가들은 5G가 향후 800만 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공신부 먀오웨이(苗圩)부장(장관)은 2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 양회무대에서 기자들과 가진 스탠딩 회견에서 코로나 19 사태의 영향에도 5G 기지국이 매주 1만개씩 늘어나면서 중국 5G 발전이 가속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5G 가입자는 코로나19 이후 경제정상화가 본격화한 후 4월 한달에만 700만명 늘어나 누계로 3600만 명에 달했다.

먀오웨이 부장은 5G가 제공하는 선명한 화상 자료는 코로나19 중증 환자를 원격 진료하고 치료하는데 뛰어난 기능을 발휘했다고 소개했다. 5G는 또 지금 한창 진행중인 중국 양회에서도 원격 화상 매체 발표회와 각종 기자회견 등에 두루 활용, 코로나19 재확산 우려를 차단하는데도 도움을 주고 있다.

올해 중국 양회 무대엔 특히 어느때보다 5G굴기에 대한 열기가 뜨겁다. 미국이 최근 중국 5G 의 상징적 기업인 화웨이를 제재하고 나섰음에도 중국은 이를 전혀 개의치 않고 5G 기술 굴기를 전방위적으로 밀어붙이는 분위기다.

뉴스핌

[뉴스핌 베이징 = 최헌규 특파원] 2020.05.26 chk@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5월 22일 리커창(李克强) 국무원 총리가 발표한 전인대 개막식 정부 업무보고에서 5G를 신형 인프라 투자의 중점항목으로 육성하겠다고 선언했다. 전인대 대표와 정협 위원을 겸하고 있는 관련 분야 기업 경영인들은 2020년 양회무대에서 정부의 5G 산업 욱성방침에 적극 호응하고 나섰다.

5G는 특히 향후 인터넷 교육과 원격 의료 분야에 응용이 본격화하면서 이들 분야가 사회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협위원으로서 인터넷 교육기업인 신둥방(新東方)의 위민훙(俞敏洪) 회장은 5G 시대에 접어들면 도시와 농촌 모두 디지털 교육 단계로 접어들 것이라며 농촌의 5G 보급도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건의했다

펑파이 신문에 따르면 중국의 인터넷 교육 수용 고객은 2020년 3월 현재 4억 2300만 명으로 2년 전인 2018년에 비해 110.2%증가 했다고 밝혔다. 전체 네티즌의 46.8%에 해당하는 수치로 향후 5G가 확대 보급되면 수요가 급팽창할 전망이다. 2020년 초 코로나19로 초중고 대학의 개학이 미뤄지면서 2억6500만명의 학생이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했다.

전인대 대표인 상하이 자동차 천홍(陳虹) 당위 서기겸 회장은 신형인프라 분야 5G 육성에 따라 산업계가 큰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밝힌 뒤 상하이 자동차는 2020년 안에 세계 최초의 5G 인터넷 자동차를 시범 출시, 고객들이 시승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동시에 5G 중기차량도 상업화 운영에 나설 방침이다.

베이징= 최헌규 특파원 chk@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