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전남대 연구팀, 안구건조 막는 콘택트렌즈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산업부 바이오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선정

윤경철 교수팀, 전남생물산업원·민간 공동

뉴시스

[광주=뉴시스] 송창헌 기자 = 안구건조 막아주는 콘택트렌즈 개발 모식도. (그래픽=전남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주=뉴시스] 송창헌 기자 = 스마트폰 과다 사용 등으로 안구건조증 환자가 매년 20%씩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콘택트렌즈를 이용해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신기술 개발이 시작된다.

25일 전남대에 따르면 안과학 윤경철 교수팀이 이와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신규지원 과제를 제시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2020년 바이오 산업핵심 개발사업에 선정됐다.

연구팀은 앞으로 5년 동안 국비 26억 원, 민자 10억 원 등 모두 36억 원을 지원받아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고효율 약물전달 기술을 개발하게 된다.

'안구건조 개선을 위한 체내 pH 감응형 약물전달 콘택트렌즈 개발' 프로젝트로, 콘택트렌즈에 안구건조의 개선이 가능한 약물을 탑재시킨 다음 눈에 착용해 장기간 유효농도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의 안약은 약물 투과율이 낮고 잔류시간이 짧으며, 콘택트렌즈는 약물방출의 지속성이 낮은 데다 유통과정상의 안정성 문제를 안아 왔다.

그러나 이 기술을 사용할 경우, pH 5.5 보존액 안에서는 탑재된 약물이 소실되지 않고, 눈에 착용한 뒤 pH 7.4에 도달할 때 약물방출이 시작돼 줄곧 유지된다.
뉴시스

[광주=뉴시스] 송창헌 기자 = 안구건조 막는 콘택트렌즈 개발사업을 주도하게 될 전남대 안과학 윤경철 교수. (사진=전남대 제공) 2020.05.25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총괄 책임자인 윤경철 교수가 사업을 주관하고, 조선대(화학과 김호중 교수)에서 약물전달 소재 개발을,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나노바이오연구센터(문명재 팀장)에서 소재와 제품 특성 평가를, ㈜윈스가 시제품 개발을 담당한다. ㈜휴온스는 식약처 인허가와 상용화를 맡기로 했다.

안구건조증은 눈 표면의 염증을 동반한 눈물 질환으로, 스마트폰의 사용과 고령 인구 증가 등으로 인해 매년 20% 이상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윤경철 교수는 "이 치료제의 시장규모는 국내 3000억 원, 세계 6조 원으로 추정된다"며 "사업화로 이어질 경우 지역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국내 및 해외에서 매년 600억 원 이상의 경제적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goodcha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