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자산운용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와 관련해 긴급 체포된 신한금융투자 전 본부장 임모씨가 3월 27일 오후 서울 남부지방법원에서 영장실질심사를 받은 뒤 청사를 나서고 있다. / 사진=이동훈 기자 photoguy@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5월 중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던 라임자산운용 배드뱅크 운용사 설립이 여전히 출자구조를 둘러싸고 난항을 겪고 있다. 앞서 판매액이 적은 판매사들의 반발이 있었다면, 이번엔 판매액이 많은 곳이 대주주를 피하기 위한 눈치싸움을 벌이고 있다.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라임 배드뱅크에 참여하기로 한 20개 라임펀드 판매사들은 배드뱅크 운용사 설립과 관련해 큰 틀에서 합의를 했다. 라임운용에서 별도로 분리해 자산을 관리해야 하는 당위성에 공감한 동시에, 펀드 판매액이 큰 순서대로 출자하는 방식에도 동의했다. 라임 배드뱅크는 라임 펀드의 투자자산 회수를 목적으로 하며, 자본금은 50억원 규모다.
라임 펀드 판매사들은 펀드별 별도의 운용사를 만들거나, 배드뱅크·굿뱅크를 설립하는 방식 등 여러 방안을 모색해왔다. 결국 관리 편의성 등 때문에 운용사는 하나로, 출자지분은 펀드 판매액이 큰 순서대로 하는 것이 맞다는 합의를 도출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또다른 복병이 나타났다. 앞서 펀드 판매액이 적은 판매사들이 굳이 신생 운용사를 만들어 출자해야 하는 것에 부담을 느꼈다면, 이번엔 배드뱅크 대주주 문제다. 개별 금융회사로 따져보면 우리은행이 3577억원으로 최대지만, 금융지주사로 따지면 신한금융그룹이 최대다.
신한금융그룹은 신한금융투자와 신한은행이 모두 라임 펀드 주요 판매사다. 신한금융투자는 라임 무역금융펀드(플루토 TF-1), 신한은행은 라임 CI(크레딧 인슈어드)펀드의 핵심 판매사다. 이들 외에도 라임 펀드를 고루 팔았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신한은행은 환매가 중단된 4개 라임 모펀드와 관련해 2769억원 어치를 판매했고, 신한금융투자는 3248억원 어치 팔았다. 전체 환매 연기액이 1조6679억원인 것을 감안해 단순계산하면 36% 가량 지분을 보유하게 된다. IFRS(국제회계기준)에 따르면 지분 30% 이상 보유할 경우 계열사가 된다.
신한지주 측은 난색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출자지분 재조정을 요구한 상태다. 그러나 다른 판매사들도 신한지주 때문에 출자액을 더 늘리는 것을 원치 않는 상황이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신한지주가 라임 배드뱅크를 책임지는 모양새가 되기 때문에 굉장한 부담일 것"이라며 "그렇다고 다른 판매사들이 신한지주 때문에 희생하기는 어려워서 라임 배드뱅크를 금융투자협회 산하에 두는 방안 등 여러가지를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신한금융 관계자는 "판매금액이 출자금액과 일치하는 것이 아니고, 또 계열사가 되려면 실질적 지배력이 있어야하는데 여러 출자법인이 있어 실질적 지배가 불가능하다"고 해명했다.
김소연 기자 nicksy@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