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대전형 긴급재난생계지원금,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지난 2월~4월 신용카드 매출액을 토대로 분석한 대전지역 상권의 월별 매출액 변화 그래프. 대전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대전형 긴급재난생계지원금 지급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단비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다.


대전시 정보화담당관 빅데이터 팀은 긴급재난생계지원금 지급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매출 감소에 반등 효과를 준 것으로 분석된다고 19일 밝혔다.


빅데이터 팀이 신용카드(국민·하나) 매출액 빅데이터로 업종별 매출액을 분석한 결과에서 3월 대전지역 전체 업종의 매출액은 5507억9000만원으로, 지난해 3월 6868억8000만원보다 1360억9000만원(19.8%)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유지되던 시기에 매출 감소가 두드러진 것이다.


하지만 긴급재난생계지원금이 지급되기 시작한 지난달 13일부터 30일까지의 지역 전체 업종 매출액은 6262억9000억원으로 전년동기 6668억원보다 385억1000만원(5.8%↓)이 줄어 매출 감소 폭이 한풀 꺾였다는 분석이다.


실제 시는 지난달 13일~30일 중위소득 50% 초과, 100% 이하 가구에 긴급재난생계지원금 명목으로 30만원(1인 가구)~70만원(6인 이상 가구)을 지급했고 이 기간 지급된 긴급재난생계지원금 총액 338억2000만원 중 142억7000만원(42.2%)이 지역 상권에서 쓰였다는 게 빅데이터 팀의 설명이다.


이는 산술적으로 긴급재난생계지원금이 일평균 7억9000만원씩 소비된 셈으로 일자별 소비 총액이 가장 컸던 것은 14일 9억9000만원인 것으로 조사된다.


또 긴급재난지원금이 주로 소비된 업종은 편의점과 슈퍼마켓 등 소매점(37억원·26.0%), 음식료품(21억4800만원·15.1%), 일반음식점(20억9400만원·14.7%), 의료기관 및 제약(12억4100만원·8.7%), 의류(10억1800만원·7.1%) 순으로 집계된다.


자치구별로는 동구가 40억6000만원으로 긴급재난생계지원급 소비규모가 가장 컸고 대덕구는 9억1000만원으로 소비규모가 가장 작았다.


여기에 시는 보건복지부의 아동돌봄 쿠폰 지급도 대전지역 상권 활성화에 일정부분 기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급 시작일과 소비패턴(최다 사용처 등)이 지역 긴급재난생계지원금과 유사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빅데이터 팀은 “지난달 13일 대전형 긴급재난생계지원금과 아동돌봄 쿠폰 지급이 지역 상권 매출을 끌어올리는 등 상권 활성화에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며 “시는 향후 포스트코로나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이번 분석결과를 기초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