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화웨이와 국제사회

美, 화웨이 고사 작전 "우리 기술 들어간 반도체 판매 허가 받아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뉴욕=백종민 특파원] 미국이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로의 반도체 수출금지 대상 기업을 기존 미국 내 기업에서 미국밖 해외 기업으로 확대하는 초강경책을 꺼내들었다.


미국은 주요 핵심 반도체 생산시설을 미국내에 유치함과 동시에 화웨이에는 공급을 제한하는 정책으로 중국의 정보통신 분야 기술 리더십을 노골적으로 고사시키려는 모습이다.


미 상무부는 15일(현지시간) 발표한 성명을 통해 "미국의 특정 소프트웨어와 기술의 직접적 결과물인 반도체를 화웨이가 취득하는 것을 전략적으로 겨냥한" 수출 규정 개정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기존 미국에서 생산된 반도체를 화웨이로 수출하지 못한 규제에 더해 미국의 기술을 활용하는 해외 기업도 화웨이에 특정 반도체를 공급하려면 미국 허가를 받아야 한다.


화웨이 역시 미국의 특정 소프트웨어나 기술과 관련된 반도체를 구입하거나 반도체 설계를 활용할 경우 미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번 조치로 화웨이는 5G(세대) 통신장비는 물론 스마트폰 등에 사용할 핵심 반도체를 조달하는데 타격이 불가피해 졌다. 미국산 기술과 장비가 없이 최신 시스템 반도체를 제조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업계의 전반적인 평이다.


이번 조치는 하루전 미국 애리조나 공장 건설을 발표한 세계 최대 시스템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업체인 대만 TSMC를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TSMC는 화웨이의 가장큰 반도체 공급원이다. TSMC는 미국 등 각국의 대표 반도체 기업들이 개발한 칩을 제조해 화웨이로 납품해왔다. 미국기업인 퀄컴과 인텔의 통신용 반도체가 없다면 화웨이는 스마트폰 제조에도 나서기 어렵다.


시스템 반도체보다는 메모리 반도체가 중심은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낮을 수 있지만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과 한국의 공장에서 미국 기술을 활용해 생산된 칩과 다른 소프트웨어도 판매가 차단될 수 있다고 전했다.


미 당국은 모든 판매가 반드시 거부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국무부 고위당국자는 이날 기자들에게 "이 규정은 허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허가가 반드시 거부된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뉴욕=백종민 특파원 cinqang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