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화웨이와 국제사회

美 이번엔 中해커 때리기…`화웨이 제재` 1년 연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의 '중국 때리기'가 점입가경이다. 미국 안보당국은 13일(현지시간) 중국과 연계된 해커들이 미국의 코로나19 연구를 해킹해 정보를 빼내려 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코로나19 확산에 대해 '중국 책임론'을 주장하는 상황에서 '해킹 의혹'마저 제기된 것이다.

미국 연방수사국(FBI)과 국토안보부 산하 사이버안보·기간시설안보국(CISA)은 이날 공동성명을 내고 "중국과 연계된 사이버 행위자들이 코로나19 연구와 관련된 네트워크와 인력으로부터 백신, 치료법, 검사에 관한 지식재산권과 공중보건 데이터를 불법적으로 획득하려는 시도가 목격됐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블룸버그는 "이 같은 경고는 중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는 데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비난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어 "해커들 목표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치료제에 관한 자료를 훔치는 것인지, 컴퓨터 네트워크를 중단 또는 무력화해 미국의 백신 개발 노력을 방해하는 것이었는지에 대해선 FBI와 CISA가 설명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 기업들이 국가 안보에 위험을 가하는 기업들이 제조한 통신장비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행정명령을 1년 더 연장했다. 중국 대표 정보기술(IT) 회사인 화웨이를 겨냥한 조치다.

한편 '코로나19 책임법안'이 발의되는 등 미국이 전방위 중국 압박에 나선 데 대해 이날 관영매체인 환구시보는 자국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낸 미주리주와 미국 정치권에 대해 "보복 조치 준비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다만 14일 트럼프 대통령은 폭스비즈니스와 인터뷰하면서 "뉴욕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을 눈여겨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인터뷰를 진행한 마리아 바르티로모 앵커는 "대통령은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 상장 중국 기업 중 미국 회계기준을 따르지 않는 곳들을 들여다보는 중이라고 한다"고 트위터로 밝혔다.

[뉴욕 = 장용승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