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국토교통진흥원, 자율주행 혁신사업 3개 분야 착수... 4053억 R&D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원장 손봉수)은 융합형 레벨4+ 자율주행을 목표로 하는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중 3개 분야 해당하는 연구개발(R&D) 사업에 착수했다고 11일 밝혔다.

2021년부터 2027년까지 4개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총 1조974억원 규모 R&D사업이다. 융합형 레벨4+ 자율주행은 도심로, 전용도로, 특정노선 등에서 비정형물체에도 대응해 주행할 수 있는 차량-클라우드-도로교통 인프라 융합 자율주행기술이다. 최근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범부처 협의체는 단일 사업단으로 '자율주행 융합사업단(가칭)'을 구성된다. 부처별 R&D 전문기관들이 사업단과 협력해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국토교통진흥원은 사업의 5개 전략분야 중 도로교통 융합 신기술, 자율주행 서비스, 자율주행 생태계 등 3개 전략분야 10개 중점기술, 22개 세부기술개발과제를 주도해 추진한다. 총 4053억원 규모다.

'도로교통 융합 신기술'은 차량의 센서 정보만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자율차의 안전한 운행을 위한 기술이다. 도로교통시설과의 융합방안과 운전자·차량·보행자·인프라 등 간 연계협력 방안이 필요하다. 사업 추진과정에서 자율주행 핵심기술 실증을 위해 도시 규모 리빙랩을 선정해 자율주행 레벨4+에 적합한 도로교통 ICT 인프라, 디지털 도로 인프라, 개방형 자율주행 모빌리티 센터 등을 구축할 예정이다.

자율주행 서비스는 장애인, 노약자 등 교통약자와 교통소외지역의 이동편의증진 서비스를 비롯한 6대 자율주행 공공 서비스를 일컫는다.

레벨4+ 완전 자율주행차의 실도로 운행 및 상용화에 대비한 안전성 평가기술, 상용화 신뢰기반 조성을 위한 법·제도 개발, 다양한 객체 및 기술간 상호호환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표준체계 기술 개발을 통해 자율주행 생태계도 구축한다.

국토부가 화성 K-시티에서 추진하고 있는 자율주행 데이터 공유센터 사업과 연계를 통해 해당 R&D 사업성과를 민간과 공유함으로써 자율주행 신산업 창출에 기여할 계획이다.

국토교통진흥원 관계자는 “본 사업을 통해 자율주행차와 도로인프라 기술을 융합하여 더욱 안전한 완전자율주행 이용환경 조성과 다양한 공공 자율주행 서비스로 국민 교통이용 편의를 증진시키겠다”고 말했다.

이어 “레벨4+ 완전 자율주행 관련 안전기준과 법제도를 2027년까지 완벽하게 준비하고, 민간의 도전과 혁신이 가능한 완전 자율주행 실험의 장을 조성하는 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