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융합형 레벨 4+ 자율주행' 기술개발 내년 착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7년까지 1조974억원 투입

진흥원 "실험의 장 조성에 최선"

아시아투데이

경기도 자율주행차 제로셔틀. /제공 = 경기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이철현 기자 = 내년부터 2027년까지 ‘융합형 레벨 4+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이 진행된다.

11일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에 따르면 진흥원은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의 5개 전략분야 가운데 도로교통 융합 신기술, 자율주행 서비스, 자율주행 생태계 등 3개 전략분야, 10개 중점기술, 22개 세부 기술개발 과제를 기획해 본격 추진한다.

‘융합형 레벨 4+ 자율주행’은 도심로, 전용도로, 특정노선 등에서 정형 또는 비정형물체(비포장도로, 경찰수신호 등)에 대응해 주행할 수 있는 차량, 클라우드, 도로교통 인프라 융합 자율주행을 의미한다.

도로교통 융합 신기술은 도로교통 인프라 분야 선도적 기술개발을 통해 자율차와 일반차가 혼재한 상황에서의 안전성 향상, 교통혼잡 감소 등을 통한 자율차의 사회적 수용성 확보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자율주행 핵심기술 실증을 위해 도시규모 리빙랩을 선정해 자율주행 레벨 4+에 적합한 도로교통 ICT 인프라, 디지털 도로 인프라, 개방형 자율주행 모빌리티 센터 등을 구축하고 도시 특성에 적합한 안정·편의성이 확보된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를 진행할 예정이다.

자율주행 서비스는 장애인, 노약자 등 교통약자와 교통소외지역 이동편의증진 서비스, 실시간 수요기반 대중교통 서비스, 공유차 서비스,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도로교통 인프라 모니터링·복구지원 서비스 등 6대 자율주행 공공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

자율주행 생태계는 레벨 4+ 완전 자율주행차의 실도로 운행·상용화 대비 안전성 평가기술, 상용화 신뢰기반 조성을 위한 법·제도 개발, 다양한 객체 및 기술간 상호호환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표준체계 기술 개발 등이 주된 내용이다.

진흥원은 국토부가 화성 케이시티(K-City)에서 추진 중인 자율주행 데이터 공유센터 사업과 연계를 통해 해당 연구개발(R&D) 사업성과를 민간과 공유할 방침이다.

진흥원 관계자는 “레벨 4+ 완전 자율주행 관련 안전기준과 법제도를 2027년까지 완벽하게 준비하고 민간의 도전과 혁신이 가능한 완전 자율주행 실험의 장을 조성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사업은 총 1조974억원 규모로 지난 4월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최종통과 했다. 국토부, 산업부, 과기부, 경찰청 등 4개 부처가 협의체를 구성했으며 협의체에서 해당 R&D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자율주행 융합사업단(가칭)’을 구성할 계획이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