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족 저분자화합물을 산화환원(redox)시켜 아밀로이드 베타(Aβ)와 활성산소(free radical)를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개념도(왼쪽, 가운데 그림). 산화 환원 결과 알츠하이머를 유발하는 아밀로이드 베타 등이 크게 감소했고, 실험쥐의 손상된 인지기능이 개선됐다.(오른쪽 그림) /자료=KAIST |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의 여러 가지 발병 원인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카이스트(KAIST) 화학과 임미희·백무현 교수, 서울아산병원 이주영 교수로 이뤄진 공동연구팀이 알츠하이머 발병 원인으로 알려진 ‘활성 산소종’과 ‘아밀로이드 베타’, ‘금속 이온’ 등을 동시다발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 원리를 새롭게 밝혀냈다고 11일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대표적 뇌 질환이다. 증상을 완화하는 약물은 있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치료제는 없는 실정이다.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는 대표적 원인 인자로는 활성 산소종, 아밀로이드 베타, 금속 이온 등이 있다.
이들 인자들은 상호 작용을 통해 뇌 질환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 이를테면 금속 이온들은 아밀로이드 베타와 결합해 아밀로이드 베타의 응집 속도를 촉진 시킬 뿐만 아니라, 활성 산소종들을 과다하게 생성해 신경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잡하게 얽힌 여러 원인 인자들을 동시에 겨냥할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이 필요하다.
(왼쪽부터)카이스트 화학과 임미희 교수 , 백무현 교수, 김민근 석박사 통합과정/사진=KAIST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연구팀은 기존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 물질(저분자 화합물)을 새로운 방식으로 설계해 알츠하이머 질병의 여러 원인 인자들을 한꺼번에 조절할 수 있는 원리를 밝혔다.
연구팀은 “저분자 화합물의 산화 환원 반응으로 활성 산소종에 대한 항산화 작용의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아밀로이드 베타 또는 금속-아밀로이드 베타의 응집 및 섬유 형성 정도 또한 확연히 감소 되는 것을 실험으로 증명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알츠하이머에 걸린 실험쥐에 투여한 결과 뇌 속에 축적된 아밀로이드 베타의 양이 크게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났고 손상된 인지 능력 및 기억력도 향상됐다.
임 교수는 “이 방법을 퇴행성 뇌 질환 관련 신약 개발에 적용하면 비용과 시간을 단축시켜 줄 것”이라고 말했다.
류준영 기자 joon@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