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초중고 개학·등교 이모저모

사흘 남은 고3 등교, 이대로 정말 괜찮습니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태원 코로나 확산에...학부모들 등교 불안 커져

서울 용산구 이태원 클럽을 중심으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이 이어지는 가운데 오는 13일 고3의 등교 개학이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코로나 감염 우려 불안감이 커지면서 학생과 학부모에게 스스로 등교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이른바 ‘등교 선택권’을 부여하라는 요구가 다시 거세지고 있다.

◇ 등교 여부 선택하게 해달라 학부모들 ‘와글 와글’

지난 7일 교육부는 감염병 대응 단계가 ‘심각’ 또는 ‘경계’일때는 ‘가정 학습’을 이유로 등교하지 않더라도 교외체험학습으로 인정해 출석한 것으로 보는 방침을 정했다. 그간 현장 체험, 가족 여행 등의 경우에만 교외체험학습을 쓸 수 있었다. 때문에 교육계에서는 “교육부가 사실상 등교 선택권을 허용했다”는 말이 나왔다.

그러나 같은날, 사흘 연속 없었던 국내 지역사회 감염이 다시 발생하면서 주말 사이 “등교 선택권을 완전히 보장해달라”는 학부모 요구가 증폭됐다. 교육부가 인정한 가정학습의 경우 교육청이나 학교 별로 연간 2주 내외까지만 쓸 수 있기 때문이다. 한 학부모는 “이태원 클럽에 다녀온 20대 중에는 고등학생 동생이 있을 수도 있지 않느냐”며 “교외체험학습을 다 쓰고 나서 또 집단감염이 발생하면 그때는 울며 겨자먹기로 아이를 학교에 보내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무단결석을 해야 하는건지 걱정이 된다”고 했다.

실제로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등교 선택권을 보장하라거나, 아예 등교 개학을 미루라는 글들이 지속적으로 올라오고 있다. 지난 7일 이후 ‘고3 13일 등교 반대, 초등 1,2년 개학 조정(3020명 동의)’, ‘1학기는 온라인 학습 출석으로 인정해 주십시오(4951명 동의)’, ‘유은혜교육부장관 퇴출해 주세요!(3179명 동의)’, ‘이유있는 등교개학반대 청원합니다.(3597명 동의)’, ‘유치원, 어린이집 긴급보육을 유상으로 변경하고, 7~9월 학기제와 전학년 의무 등교를 선택적 등교로 바꿔주세요(858명 동의)’ 등의 청원이 새로 올라왔다. 지난달 24일 올라온 청와대 국민청원 ‘등교 개학 시기를 미루어주시기 바랍니다’에는 10일 현재 14만 6585명이 참여했다.

유은혜 교육부 장관의 퇴출을 청원한 청원자는 “유은혜 장관은 선택적 등교 방침이 왜 적용되지 않는지 타당한 의견을 제시해 주지 못했다”며 “코로나 종식 전까지 부모 지도 아래 선택 등교(체험학습 미적용)를 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했다.

◇ 정부는 고3 등교 사흘 앞둔 시점에도 ‘논의 중’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아예 등교 개학 시기를 미루자는 주장도 나온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난 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5월 5일 이후 2주 경과를 보고 생활 방역으로 넘어갔으면 했다”며 “지역사회 전파범위를 평가해 봐야 하겠지만 상당한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라서 일단 개학을 연기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썼다.

하지만 방역 당국은 등교 시기 조정을 논의 중이라는 입장이다. 고3의 등교를 사흘 앞둔 10일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브리핑에서 “아직까지는 등교 시기를 조정할지에 대해서 정부 내에서 논의를 해서 방침이 정해지지는 않았다”며 “현재 (집단 감염 상황이) 고3 등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계속 논의 중이기 때문에 방침이 정해지면 공식적으로 말씀 드릴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정부는 원래는 ‘사회적 거리 두기’가 ‘생활 속 거리 두기’로 전환되는 지난 6일부터 계산해 2주가 지나는 20일 등교 개학을 하기로 했었다. 하지만 대입 일정이 촉박한 고3에 대해서는 일주일 빠른 13일 개학하기로 했다. 일각에서는 교육부의 이러한 판단이 처음부터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한다.

경기 한 고교 교장은 “입시 때문에 고3을 일찍 등교시키는 것인데, 역으로 확진자가 한 명이라도 나오면 그 학교 학생들만 올해 입시에서 불리해진다”며 “아무리 고3이라도 잠복기를 고려하지 않고 우선 등교시키기로 한 결정은 섣불렀다”고 말했다.

[유소연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