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4 (토)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호위무사·금고지기..3년간 文 지킨 靑 '핵인싸' 15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성휘 기자] [the300]문재인정부 3년(4)-청와대 편

문재인 대통령을 보좌하는 청와대 참모진의 평균 나이가 집권 3년을 채운 2020년 5월, 54.8세로 나타났다. 문 대통령 취임 100일 즈음인 2017년 8월 53세에서 1.8세 늘었다.

머니투데이 더300[the300]이 문 대통령 취임 3주년(5월10일)을 앞두고, 청와대 비서관급 이상 참모 65명을 분석한 결과다. 비서관급 이상 65명중 1기 청와대부터 지금까지 일하는 원년멤버는 15명에 이른다.

머니투데이

앞줄 왼쪽부터 김거성 시민사회수석, 강기정 정무수석, 김상조 정책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영훈 경호처장, 김조원 민정수석, 윤도한 국민소통수석, 뒷줄 왼쪽부터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 이공주 과학기술보좌관, 이호승 경제수석, 김외숙 인사수석, 황덕순 일자리수석, 김연명 사회수석, 김유근 국가안보실 1차장. 2020.01.14. since1999@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원년멤버, 비서관급 이상만 15명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최종건 평화기획비서관은 안보실의 원년멤버다. 주영훈 경호처장은 참여정부부터 문 대통령과 인연이 깊다.

이호승 경제수석은 청와대 첫 일자리기획비서관으로 발탁한 후 기재부 1차관을 맡겼다가 경제수석으로 다시 불렀다. 황덕순 일자리수석도 고용노동비서관으로 출발해 수석에 올랐다.

문 대통령의 대선을 준비했던 광흥창팀에선 신동호 연설·오종식 기획·조용우 국정기록비서관과 이진석 국정상황실장, 한정우 춘추관장 등 5명이 있다. 정치권 출신은 아니지만 문 대통령의 2012년 대선부터 지근거리에서 보좌한 신지연 제1부속비서관(미국 변호사)도 역할을 바꿔가며 존재감을 입증했다.

총무비서관은 과거 정부에서 청와대 '금고지기'로, 대통령의 정치적 동지가 맡았다. 문 대통령은 기재부 출신 이정도 비서관을 파격 발탁했고 지금도 신임하고 있다. 신상엽 제도개혁비서관, 최상영 제2부속비서관, 윤성원 국토교통비서관도 있다.

'순장'은 시대상에 다소 맞지 않는 표현이지만 이들 대부분 5년 임기를 문 대통령과 함께할 순장조로 꼽힌다. 청와대 관계자는 "선임행정관과 행정관급 실무진을 포함하면 원년멤버는 15명을 훌쩍 넘는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그래픽=이승현 디자인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즌1 임종석팀, 대선캠프처럼



임종석 전 실장 시절 1기 청와대는 변화와 역동성이 주무기였다. 인수위원회 없이 구성된 것 자체가 변화를 상징했다. '광흥창팀'처럼 문 대통령의 선거 참모조직이 대거 청와대 비서진으로 옮겨왔다. 차분하게 인선할 틈이 없었으므로 취임 이후 차츰 채워간 비서관 자리도 적잖다. 청와대가 대선캠프같다는 말은 국민 눈높이와 멀지 않다는 긍정적인 의미도 띠었다.

'임종석 스타일'로 불린 2017년 1기 청와대에 비해 노영민 비서실장이 이끄는 현재 2기는 보다 안정적인 조직력을 보이고 있다. 고령화때문은 아니다. '원년멤버'들이 자연히 3살씩 나이를 먹었는데 평균은 1.8살 늘었을 뿐이다.

당초 대선캠프같던 성격이 계속된 인적교체와 총선출마 등으로 희석되고, 청와대의 전통적인 대통령 보좌 기능으로 재무장한 측면이 강하다. 노 실장은 "참모는 입이 없다"는 점을 중시한다. 윤도한 국민소통수석, 강민석 대변인 등 소통라인 외에 드러나는 '스피커'는 김상조 정책실장과 강기정 정무수석 정도다. 1기 여민관의 임 실장, 조국 민정수석, 조현옥 인사수석 등과 컬러가 다르다.

머니투데이

【서울=뉴시스】박진희 기자 = 임종석 비서실장이 8일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룸에서 신임 비서실장 등 인사를 발표한 후 노영민 신임 비서실장과 악수하고 있다. 2019.01.12. pak7130@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즌2 노영민팀, 공직자·법조인 증가

2기 비서진이 2017년 1기에 비해 특정 정치그룹이나 출신지역, 학연 등에 지나치게 쏠린다고 보긴 어렵다. 단 행시-외무고시 등을 거친 공직자 출신, 교수 등 전문가 그룹이 늘었다. 사법고시 출신은 2명에서 7명으로 증가했다.

전통적 법조인 무대인 민정수석실 외에 인사수석과 그 산하 2명의 비서관 모두 사시 출신 법조인이다. 취임초 계속된 인사 논란에 대응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안정감과 조직력은 문 대통령이 '원톱'으로 정부를 이끄는 걸 보좌한다. 그 결과는 코로나19 대응으로 나타났다. 문 대통령 국정 지지도는 60%대를 회복했다. 70%를 넘긴 조사도 있다.(한국갤럽, 5월8일 발표) 임기 절반을 이미 넘기고 4년째에 접어드는 중후반 지지도가 'U자'로 치고 오르는 건 이례적이다.

물론 문 대통령의 개인기란 평가가 많고 실제 그런 측면이 강하다. 하지만 비서진의 뒷받침을 배제할 순 없다. 평균나이 1.8세 상승, 큰 차이는 아닌 것 같지만 그 숫자 뒤에 이런 변화가 있다.

현장경험과 전문성도 눈에 띈다. 황덕순 일자리수석, 조성재 고용노동비서관은 나란히 한국노동연구원 출신의 노동정책 전문가다. 박상훈 의전비서관은 외교관 출신 '의전의 달인'이다. 석종훈 중소벤처비서관은 포털과 창업벤처를 겪었고 인태연 자영업비서관은 글자그대로 자영업자 출신이다. 디지털소통센터장은 전임자 정혜승-현직 강정수 비서관 모두 뉴미디어 분야 전문가다.

여성은 1기 9명에서 현재 8명으로 다소 줄었다. 은수미 성남시장(전 여가비서관), 유송화 전 춘추관장 등 정치인 출신이 선거 출마 등으로 빠져나가는 대신 박수경 과학기술보좌관, 김애경 해외언론비서관 등 교수·전문직 출신이 입성했다.

김성휘 기자 sunnykim@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