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로봇이 온다

6.25 전사자 유해발굴에 지하 탐지로봇 투입 전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방부. 6.25 70주년 맞아 유해발굴 더욱 내실있게 추진키로

아시아투데이

6·25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에 투입된 장병들이 지표굴토 작업을 하고 있다. /제공=국방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이석종 기자 = 6·25 전사자 유해 발굴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자율 이동형 지하탐지 로봇이 투입된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유해발굴에 접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오는 10월에는 발굴된 유해의 신원 확인율을 높이기 위한 신원확인센터도 문을 연다.

국방부는 6일 강원 양구 등 7곳을 시작으로 올해 6·25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 유해 발굴은 오는 11월 말까지 전국 36곳에서 진행된다.

국방부는 이날 2022년까지 유가족 유전자시료 11만 개 확보를 통해 발굴된 6·25 전사자 유해 신원확인 제고를 향후 유해발굴 사업의 목표로 정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유해발굴 4대 전략과 10대 추진과제를 시행한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올해 6·25전쟁 70주년을 맞아 6·25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이 한 차원 더 내실 있게 추진될 예정”이라며 “이는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마지막 한 분까지 찾아 모시는 것이 국가의 마땅한 책무’라는 문재인 대통령의 강한 의지와 6·25전쟁 발발 70주년이라는 역사적 의미가 어우러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아직까지 수습되지 않은 6·25전쟁 전사·실종자 13만 5000 여명 중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확보한 유가족 유전자 시료는 5만여 개다. 국방부가 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3년간 6만여 개의 유전자 시료를 추가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방부는 국가보훈처 등 10여 개 관련 부처와 다양한 협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올해 추진되는 각종 6·25전쟁 70주년 사업은 물론 각 군과 정부 부처 가용 매체를 활용해 유전자 시료 체취 등을 적극 홍보한다는 방침이다.

국방부는 이를 통해 올해에만 1만 2500개의 유가족 유전자 시료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국방부는 유가족의 유전자 시료 체취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전사자 유해 신원 확인 포상금 관련 법령 개정도 추진하기로 했다.

유해 발굴과 관련해서는 비무장지대(DMZ)를 포함해 연간 500구 이상의 유해 발굴을 목표로 군단급 발굴팀과 발굴부대 예산·물자 등을 조기에 지원하기로 했다.

이남우 국방부 인사복지실장은 “6·25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은 국민 모두의 참여를 이끌어 내며 그 의미를 공유하는 방향으로 사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나갈 시기가 됐다”며 “유해발굴사업에 대한 국민적 인지도를 제고해 국민 모두가 함께하는 사업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