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미래 자율주행차 상용화 위해 2027년까지 1조원 투입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범부처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예타 통과

4개 부처 합동 자율주행 융합사업단 설립·운영

주요 고속도로에서의 완전 자율주행 구현 목표

이데일리

현대모비스 연구원이 운전자 동공추적과 안면인식이 가능한 ‘운전자 부주의 경보시스템’을 상용차에 적용해 시험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미래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내년부터 2027년까지 총 1조974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같은 내용의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이 지난 24일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고 28일 밝혔다.

산업부는 지난해 10월 확정한 ‘미래차 발전 전략’ 계획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토교통부, 경찰청과 함께 이 사업을 추진해 왔다. 4개 부처는 전략 발표에 앞선 지난해 8월 예타를 신청하고 사업 추진을 준비해 왔다.

산업부 등은 이번 예타 통과에 따라 당장 내년부터 관련 사업에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전체 사업비 1조974억원 중 76%인 8320억원은 정부 예산을 활용하고 나머지는 자동차업계 등 사업 참여 주체가 부담한다.

이번 사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운전자 없이 운행하는 완전한 자율주행차를 개발하고 이를 실제 도로에 다닐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와 법, 제도까지 정비하는 것이다. 정부는 특히 이번 사업을 통해 자동차가 전국 주요 고속도로에서 완전한 자율주행을 하는 자율주행 4단계 수준을 구현한다는 목표다.

미국 자동차기술자협회(SAE)는 자율주행을 0~5단계로 나누는데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자동차업계는 현재 자율주행 기술이 운전자를 지원하는 2단계 수준의 차량을 양산해 운행하고 있다. 또 선진국과 주요 자동차 회사는 고도의 자율주행이 가능한 4단계 수준의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구체적으로 5개 분야 84개 세부 과제를 수립했다. △차량융합 신기술 △ICT 융합 신기술 △도로교통 융합 신기술 △자율주행 서비스 △자율주행 생태계로 나누고 각각의 세부 과제를 시행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를 비롯한 4개 부처는 또 이 사업을 기획하고 예산을 수립·집행하는 과정에서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앤다는 계획도 세웠다. 이른바 ‘부처 매칭형 신 협력모델’이다. 이를 위해 가칭 ‘자율주행 융합사업단’도 설립·운영한다. 부처 간 이해관계 때문에 자율주행차 상용화 시기를 앞당긴다는 목표에 차질이 생기거나 중복 투자에 따른 비효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전국 주요 고속도로에서 완전 자율주행을 구현해 국내 기업의 국제 기술경쟁력 선도와 미래 서비스산업 창출, 국내 교통시스템의 선진화를 이루겠다”며 “이를 통해 교통사고 저감과 교통약자 지원, 교통정체 완화 등 산업기술과 사회문화에 걸친 파급효과도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미국 자동차기술자협회(SAE) 자율주행 0~5단계 구분.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