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긴급재난지원금

문대통령이 방향잡고 정총리 중재…당정 재난지원금 '교통정리'(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대통령 "국민에 이익되는 방안 빨리 찾아야"…사실상 '자발적 기부' 카드 가닥

정 총리, 홍남기에 전화걸고 면담도…청와대와 소통해 당정청 조율 이끌어

연합뉴스

범정부대책회의 입장하는 문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범정부대책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2020.2.23 cityboy@yna.co.kr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설승은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 전국민 확대를 놓고 당정이 22일 '전국민 지급 및 자발적 기부를 통한 재원 확충'이라는 절충안을 끌어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정세균 국무총리의 역할이 주요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까지만 해도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하위 70% 지급'이라는 정부안을 고수했고, 더불어민주당은 총선에서 약속했던 '전국민 지급' 안을 주장하며 당정 사이의 엇박자가 이어지고 있었다.

이같은 잡음을 진화하고 당정이 접점을 찾는 과정에서 문 대통령이 직접 방향을 잡는 역할을 했다고 청와대 복수의 관계자가 전했다.

문 대통령은 우선 참모들에게 "국민에게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합의안을 도출하라"는 취지의 언급을 했다.

문 대통령은 "언제까지 논란을 벌일 사안이 아니다. 국민들이 급한 만큼 속도가 중요하다"는 점도 참모들에게 강조했다고 한다.

특히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사실상 문 대통령이 '자발적 기부' 방안으로 절충안이 마련되도록 가닥을 잡아줬다"고 설명했다.

물론 '자발적 기부' 방안은 문 대통령이 처음 고안한 것은 아니며 그동안 여권에서 꾸준히 제기된 의견이기는 하지만, 당정 의견충돌 과정에서 문 대통령이 사실상 이 방안에 힘을 실어주면서 논의가 빠르게 진전됐다는 것이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큰 방향이 정리된 뒤 민주당과 정부 사이의 '교통정리' 역할을 맡은 것은 정 총리였다고 한다.

정 총리는 이날 민주당이 '전국민 지급 및 자발적 기부' 방안을 발표하자, 곧바로 "고소득자 등의 자발적 기부가 가능한 제도가 국회에서 마련된다면 정부도 이를 받아들이겠다"며 "여야가 이 같은 긴급재난지원금 지급방안에 합의한다면 수용하겠다"고 화답했다.

특히 홍 부총리가 이같은 안을 수용하기까지는 정 총리의 설득이 상당했다는 것이 정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정 총리는 이날 오전 홍 부총리에게 전화로 "당정이 계속 엇박자를 내거나 대치하는 모양새는 국민이 불편해한다"면서 "여야가 합의하면 정부가 존중을 해줘야 한다"며 설득에 나섰다.

홍 부총리는 이에 수긍의 뜻을 표하면서 "국회에서 합의를 해오면 정부가 어떻게 하겠느냐. 수용할 수밖에 없다"며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홍 부총리는 정부가 당초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을 50%로 정했다가 여당 요구대로 70%로 확대했는데, 또다시 100%로 확대하게 된 것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한 것으로 전해졌다.

총리실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전날부터 야당이 정부안을 지지하며 재난지원금 지급을 놓고 정부가 야당과 함께 여당에 맞서는 모양새가 되는 상황이 벌어지며, 정 총리가 중재역을 자임하고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총리는 전날에도 홍 부총리를 만나 "정부와 여당이 각을 너무 세우는 것은 좋지 않다. 톤을 낮추라"고 말했지만, 이후 야당이 당정 합의를 요구하며 역공을 펴자 야당의 '당정 갈라치기' 작전에 당해선 안 된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홍 부총리가 설득되자 일은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정 총리는 청와대와 의견 조율을 했고, 민주당도 곧바로 기재부와 논의에 들어가 정오께 전국민 지급 및 기부를 통한 반납안에 큰 틀에서 접점을 이뤄 당정청 조율이 완료됐다. 이날 오후 조정식 정책위의장 주재 기자간담회에서 이런 방안을 발표했다.

정 총리는 민주당의 발표 이후인 이날 오후에도 홍 부총리를 별도로 만나 의견을 재차 교환했다.

ses@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