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슈 김정은 위원장과 정치 현황

김일성·김정일도 심장마비···김정은 괴롭히는 '심혈관 가족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정은 건강’ 동북아 불안요인

김일성·김정일도 심장마비 사망

후계체제 미완성…권력 투쟁 우려

중앙일보

지난 12일 조선중앙TV는 하루 앞선 1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열린 노동당 정치국 회의 모습을 보도했다. [사진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1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 상태가 위중하다는 언론 보도가 잇따라 나왔다. 북한의 급변 사태 가능성이 불거지면서 주식 시장이 출렁였다. 또한, 동북아 안보 지형이 바뀌는 것 아니냐는 불안도 함께 커졌다.

김 위원장의 건강을 우려하는 평가는 이전부터 나왔다. 김 위원장은 2018년 4월 남북 정상회담 당시 판문점 북측 회담장인 판문각 앞 계단을 걸어 내려온 뒤 거친 호흡을 내뱉었다.

중앙일보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2018년 4월 27일 오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판문각에서 나와 군사분계선으로 내려오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같은 해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 마지막 날 백두산 산책에서도 10여 분 만에 건강 이상 징후가 포착됐다. 1984년에 태어난 김 위원장은 31살 더 많은 문재인 대통령보다 훨씬 더 지친 모습을 보였다.

김 위원장은 앞서 6월에 열린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도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산책에서 짧은 걸음 만에 호흡이 거칠어지고 많은 땀을 흘렸다. ‘외국에서 의사를 초빙해 심장 수술을 했다’는 등 건강 관련 소문이 꾸준히 돌았던 이유다. 국가정보원은 2014년 국회 정보위원회 보고에서 “김 위원장이 발목에 생긴 낭종 제거 수술을 받았다”고 확인했다.

중앙일보

2012년 4월 13일 북한 최고인민회의 12기 5차회의가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열렸다. 이날 최고인민회의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증을 들어보이고 있다. [조선중앙TV캡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 위원장은 2011년 12월 집권한 직후부터 체중이 급격하게 늘었다. 국정원은 2016년 국회 업무보고에서 “김 위원장은 집권 당시 키는 170~172㎝ 정도에 체중은 90㎏ 수준”이라며 ‘5년 만에 체중은 130㎏까지 늘었다’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은 과체중에 따른 고지혈증ㆍ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합병증을 갖고 있다고 분석된다.

김 위원장은 각종 스트레스와 식습관, 줄담배와 폭음 등 다양한 원인으로 건강이 악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심혈관 계통 질병은 가족력과도 무관하지 않다. 김 위원장의 조부인 김일성(1994년)과 부친이 김정일(2011년)의 사망 원인도 모두 심장마비였다.

중앙일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미 정상회담을 위해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하기 몇 시간 중국 남부 난닝의 역에서 휴식을 취하며 담배를 피우는 모습. [TBS 제공=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과 같은 독재체제에서 최고 권력자의 건강 이상은 정치적 불안과 결국 체제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북한은 김 위원장의 건강 정보를 최고 수준의 비밀로 다룬다. 정상회담이 열린 회담장과 숙소에서 김 위원장의 머리카락 하나도 남기지 않을 정도로 꼼꼼하게 챙긴다. 정보기관 관계자는 “북한 내부의 핵심 정보 수집, 영상에 드러난 신체 변화 분석 등 건강 징후를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한다”고 귀띔했다.

남성욱 고려대 통일외교학부 교수는 “김 위원장이 40대에 들어서면 건강 문제는 현실이 될 수 있다”며 “후계체제를 완성하지 못한 상황에서 북한 내부의 권력 투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동북아 안보의 ‘돌발 변수’로 살펴봐야 한다”고 전망했다.

박용한 기자 park.yongha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