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본질은 건물 아닌 성도의 모임"
"개인주의적 신앙 고착 우려도...코로나 사태 이후 공동체성 회복 노력해야"
"교회, 공동선 추구하며 사회 일원으로서 책임감 가져야"
[앵커]
코로나19 사태는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노력에 동참하며 예배의 본질을 돌아보고, 공동선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는 등 신앙적으로 중요한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CBS 연속기획 '한국교회와 코로나19', 오늘은 코로나 사태가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봅니다.
오요셉 기자입니다.
[기자]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대다수의 교회들은 주일 예배를 온라인 예배로 드리고 있습니다.
장기간의 온라인 예배는 그리스도인들에게 공동체예배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장영일 목사 / 대구 범어교회, 대구기독교총연합회 대표회장]
"역으로 성도들이 얼마나 예배당 예배가 중요한가, 공동체 예배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역으로 느끼면서 예배당을 사모하며 모이기를 원하는 성도들의 열망을 우리가 받고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코로나 사태 속에 진행되는 온라인 예배에 대해 신학자들은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잘 살펴 신앙생활에 유익이 되도록 신경써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신학자들은 먼저 온라인예배가 교회와 예배의 본질을 돌아보는 계기가 됐다고 말합니다.
교회를 특정 장소로만 생각하는 건물 중심적 교회관에서 벗어나 '성도의 모임'이란 교회의 본질을 새롭게 인식하고, '하나님과의 만남'이란 예배의 본질을 능동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겁니다.
또, 당연하게만 생각했던 공동체의 친밀한 교제와 인격적 만남이 얼마나 소중했는지를 깨닫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김동춘 교수 / 기독연구원 느헤미야]
"예배의 중심은 어떤 건물이나 장소가 아니라 성도들의 모임이 바로 교회 아닙니까?
모든 성도들이 말씀 안에서 서로 연결이 돼있단 말이죠. 그렇다면 꼭 우리가 장소로서의 교회에 머물러 있지 않다 할지라도 말씀이 들려지고, 말씀을 듣고 아멘하는 그 자리가 교회가 발생되는 사건이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것 같아요. 그런 점에서 지금까지 한국교회가 가지고 왔던 교회 중심, 건물 중심의 교회관에 대한 극복이..."
온라인예배는 개인주의적 신앙관을 고착시킬 우려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코로나 사태가 예외적인 상황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코로나 사태가 종식된 뒤에는 공동체성 회복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신학자들은 당부했습니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대표회장 전광훈 목사가 담임목사인 서울 성북구 사랑제일교회가 서울시의 집회금지 행정명령에도 불구하고 주말인 5일 현장 예배를 강행하고 있다. 윤창원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코로나 사태는 기독교 신앙이 일반 사회 안에서 어떻게 구현될 것인지 되돌아보는 계기도 됐습니다.
큰교회들이 작은 교회를 돕고 교회가 주변의 어려운 사람들을 지원하면서 공동선의 가치를 깨닫게 해주고 있다는 것입니다.
신학자들은 한국교회가 그동안 양적 성장에 몰두하고 구원중심적 사고에 갇혀 공동선에 대한 개념이 희박했다고 지적하며, 교회는 공동의 이익과 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동춘 교수 / 기독연구원 느헤미야]
"이 공동선이야말로 오늘날 다원화된 사회 속에서, 특히 코로나와 같은 대재앙이 엄습한 이 사회에서 우리 모두가 함께 공존하고 공생해야 하는 과제 안에서 교회가 꼭 보여줘야 할 아주 중요한 크리스천의 덕목이다 생각됩니다.
앞으로 한국교회가 시민사회의 한 일원으로서 보다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코로나19 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상황 속에서 신앙의 성숙을 위한 노력과 함께 사회 구성원으로서 교회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CBS뉴스 오요셉입니다.
[영상취재 정용현] [영상편집 서원익]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