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재산공개]양승조 4억1265만원…충남 공직자 평균 6억8173만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영훈 당진시의원 54억 '최다'…169명 중 64명은 재산 줄어

뉴스1

충남도공직자윤리위원회가 25일 발표한 충남도 공직 유관 단체장 재산규모 상·하위©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홍성=뉴스1) 이봉규 기자 = 충남도공직자윤리위원회가 양승조 지사를 비롯 도내 시장군수, 도의회의원, 시·군 의회 의원, 충남개발공사 사장 등 169명의 재산변동 신고 내역을 공개했다.

재산변동사항 신고 대상자는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매년 1월 1일부터 또는 최초 등록 의무가 발생한 날부터 같은 해 12월 31일까지의 재산변동 사항을 이듬해 2월 말까지 신고해야 한다.

도 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대상자는 2019년 12월 31일 현재 재직 중인 공직 유관 단체장 1명과 시·군 의원 168명으로, 공개 내역에는 공직자 본인과 배우자, 본인 직계 존·비속의 재산변동 사항 등이 포함돼 있다.

이날 공직자윤리위원회가 발표한 양승조 지사의 재산은 기타사유로 지난해보다 3704만원이 줄어 4억1265만원이다.

또한 김용찬 행정부지사는 6384만원이 늘어 총 9억3791만원을, 허재영 충남도립대 총장도 2억89944만원이 증액된 총 16억4664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권혁문 충남개발공사 사장의 재산은 3억6915만원으로 지난해 보다 4134만원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도내 15개 시장·군수별로 보면 오세현 아산시장이 18억67만원의 재산을 신고해 가장 많았으며 가세로 태안군수가 14억7546만원을, 김동일 보령시장이 13억3661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도내 13개 시장·군수의 재산이 늘어난 가운데 문정우 금산군수와 최홍묵 계룡시장의 재산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최홍묵 계룡시장은 지난해 보다 1억5404만원이 준 3억7527만원을 신고했고 문정우 금산군수는 –3억2375만원을 신고해 재산 순위에서 가장 하위를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Δ김정섭 공주시장 6억82840만원 Δ김동일 보령시장 13억3661만원 Δ오세현 아산시장은18억67만원 Δ맹정호 서산시장은 8억2723만원 Δ황명선 논산시장 4억678만원 Δ최홍묵 계룡시장 3억7527만원 Δ김홍장 당진시장 3억3865만원이다.

또 Δ문정우 금산군수 -3억2375만원 Δ박정현 부여군수 5억9557만원 Δ노박래 서천군수 1억8046만원 Δ김돈곤 청양군수 9억9789만원 Δ김석환 홍성군수10억1594만원 Δ황선봉 예산군수 7억9830만원 Δ가세로 태안군수14억7546만원 등을 신고했다.

더불어 시·군의원별 재산가액을 보면 서영훈 당진시의원이 54억2854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맹의석 아산시의원이 52억8707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전재숙 당진시의원이 47억972만원으로 재산을 신고하는 등 30억 이상이 5명으로 조사됐다.

재산보다 채무가 많은 신고자(시·군의원)는 박응수 예산군의원이 –3억7035만원으로 가장 부채가 많았고 뒤를 이어 이창선 공주시의원이 –2억6816만원, 유영배 예산군의원이 -1억6531만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또한 정부공직자 윤리위원회 대상자인 김석곤 도의원이 31억3637만원을 신고해 광역의원중에는 재산이 가장 많았고 이계양 도의원이 18억4861만원, 김한태 도의원15억5241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오인철 도의원은 -5억839만원을, 김영수 도의원은 1333만원을, 김형도 도의원은 2811만원을 신고해 재산총액 하위에 이름을 올렸다.

발표에 따르면 신고대상의 평균 재산은 6억 8173만원이며 1억원 이상 5억원 미만 신고자가 74명으로 나타났다.

재산이 증가한 신고자는 105명(62.1%)으로 집계됐고 64명(37.9%)은 재산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도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번 신고 내용에 대해 6월 말까지 심사를 실시하고 심사 결과 불성실 신고 사실이 발견될 경우 경중에 따라 보완 명령, 경고, 과태료 부과, 해임 요구 등의 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도 공직자윤리위원회 관계자는 “재산변동사항 신고 대상자 가운데 공직을 이용한 부정한 재산 증식 의혹이 있는 공직자가 발견될 경우, 관계 기관에 조사를 의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재산등록 및 심사를 강화해 공직윤리를 확립하고 도민으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nicon3@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