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하라리 “한국, 투명한 정보-대중과 협력 모범사례”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적 역사학자, FT에 기고

“프라이버시와 공중보건 가치 조화… 감시와 처벌보다 큰 효과 입증

방역-경제파장 글로벌 협력을”

동아일보

‘사피엔스’ ‘호모 데우스’ 등의 작가이자 세계적 역사학자인 유발 하라리 예루살렘히브리대 교수(44·사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류가 ‘분열이냐 연대냐’라는 갈림길에 섰다며 전 세계적 연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한국을 ‘긍정적 선택이 가져올 미래’의 사례로 평가했다. 20일 파이낸셜타임스에 기고한 ‘코로나바이러스 이후의 세계’라는 제목의 글에서 하라리 교수는 전례 없는 위기 속 인류가 ‘전체주의적 감시세계냐, 시민권 향상이냐’, ‘국수주의적 고립이냐, 전 세계적 연대냐’라는 두 가지 중대한 선택의 기로에 놓였다고 분석했다.

그는 먼저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된 뒤에도 일부 국가에서 생체 측정 방식의 감시 시스템을 유지하려고 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프라이버시와 공중보건’은 양자택일의 선택이 아니라 함께 향유할 수 있는 가치라며 한국을 비롯한 대만, 싱가포르는 이 가치의 조화를 이룬 모범 사례라고 소개했다. 그는 “이들 국가는 추적 앱을 활용하기는 했지만 광범위한 검진, 정직한 보고, 투명한 정보를 잘 전달받은 대중과의 협력 의지에 훨씬 더 많이 의지했다”고 평가했다.

코로나19가 ‘시민권’에 대한 중대한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 하라리 교수는 “중앙집권화된 감시와 강한 처벌만이 모두에게 유익한 방향으로 사람들을 이끄는 것이 아니다”라며 “대중이 과학적 사실을 잘 전달받고, 정부가 자신들에게 제대로 된 사실을 전달하고 있다는 신뢰가 있을 때가 더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인류가 직면한 두 번째 선택이 ‘고립 대 연대’라고 설명하며 “감염병 자체도, 그에 따른 경제적 여파도 모두 전 세계적 문제지만 두 가지 모두 전 세계적 협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로 인한 혼란도 각국의 경험을 공유할 때 해결이 가까워진다고 지적한 하라리 교수는 “영국 정부가 여러 정책을 두고 주저할 때 한 달 전 비슷한 딜레마를 마주했던 한국으로부터 조언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날 마이크 라이언 세계보건기구(WHO) 보건 긴급 프로그램 담당 사무차장도 언론 인터뷰에서 “확진자 파악, 접촉자 확인, 확진자 및 접촉자의 격리 등에 초점을 맞춘 대응이 한국이 봉쇄 조치를 실시할 필요가 없도록 해줬다”고 평가했다.

반면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22일자 칼럼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감염자가 28명에 머물렀던 지난달 13일 ‘(코로나19는) 머지않아 종식될 것’이라고 선언했다”며 “이는 총선이 4월 15일로 다가왔다는 초조함이 초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측은 “칼럼 하나에 일일이 대응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만 밝혔다.

임보미 기자 bom@donga.com / 도쿄=박형준 특파원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