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몰하는 세월호/사진=이기범 기자 leek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14년 4월16일 세월호 참사 당일 해경 지휘부가 구조과정 전체를 통틀어 구조작업에 필요한 의사소통을 제대로 하지 않았을 뿐더러 애초부터 구조 준비가 제대로 돼있지 않았던 정황이 드러났다.
머니투데이 더엘(theL)이 27일 입수한 검찰 세월호 참사 특별수사단의 공소장에 따르면 세월호참사 당일 세월호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다는 이유로 현장지휘관이 됐던 김경일 123정장은 대형 여객선 전복 사고에 대비한 훈련을 받은 적이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김 정장은 선박 밖으로 나온 사람들을 구조하는 훈련을 받은 적이 있을 뿐이었다. 또 김 정장은 이같은 사고 상황에서 현장지휘관으로 훈련을 받거나 실제 지휘한 경험도 전무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참사 당일 현장지휘관의 능력 부족과 더불어 해경 지휘부도 제대로 된 의사소통을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사고 수습을 위한 의사소통보다는 윗선에 보고할 내용을 준비하기 위한 의사소통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검찰 공소장에 따르면 당시 해경 지휘부는 세월호와 교신을 주고받으며 내부 상황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해경 지휘부는 이같은 교신 정보를 구조본부 및 구조세력에는 제대로 전달하지 않았다. 또 해경 상황실은 사고를 신고한 세월호 승객 및 선원 등에게 별도로 통화를 시도하거나 교신을 시도하지 않았으며 신고내용을 구조세력에 전파하지도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이 이런데도 각 구조본부는 청와대, 해양수산부, 안전행정부 등 관련기관에 상황전파를 하는데 집중하느라 현장에서 구조활동 중인 초계기, 헬기 등 구조세력에는 세월호 상황을 전파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상부에 보고할 내용을 챙기다가 정작 현장 지휘를 하지 않은 것이다.
공소장에 따르면 이처럼 지휘부와 현장 구조세력 간 상황전파가 전혀 이뤄지지 않다보니 구조세력이 현장에 도착했어도 아무런 구조 계획이 없었다. 지휘선이었던 123정은 물론 초계기, 헬기 등 항공 구조세력 모두 세월호 내 승객이 몇 명인지도 모른 채 현장에 도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지휘부와 구조세력의 무계획·무대응은 세월호가 서서히 침몰해가는 동안에도 계속됐다. 구조 메뉴얼과 현장 상황에 대한 상식적인 판단에 따라 세월호 선내에 대기하고 있는 승객들에 대한 퇴선 명령을 내리는 것이 최우선 임무였음에도 지휘부나 구조세력 중 누구도 세월호 선장 또는 선원들과 교신을 시도하지 않았고 퇴선 명령도 내리지 않았다.
오히려 해경 지휘부는 현장지휘선으로서 배 밖으로 나온 일부 승객을 구조하고 있던 123정에게 구조 인원 및 구조 상황 보고를 요구하고 현장 사진 및 영상자료 전송을 요구했다. 이를 위해 영상시스템 가동 등을 123정에 반복적으로 지시하기도 했다. 이같은 지시는 모두 해경 지휘부가 윗선에 보고할 보고서를 만들기 위해서였다.
결국 해경 지휘부는 세월호가 좌현으로 45도 전도된 지(오전 8시52분) 1시간도 넘은 오전 9시59분경 주파수공용통신(TRS)을 이용해 김 정장에게 퇴선조치 등을 지시했다. 하지만 세월호는 같은날 오전 9시50분경 좌현으로 약 63도 전도되면서 4층 좌현 갑판까지 침수돼 구조가능성이 이미 희박해진 상황이었다.
특수단은 이같은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김석균 전 해양경찰청장과 김수현 전 서해지방해양경찰청장, 김문홍 전 서해지방해경청 목포해경서장 등 세월호 참사 현장 구조 책임자 13명을 업무상과실치사, 업무상과실치상 등의 혐의로 각각 불구속 기소했다. 특수단은 구조 헬기 논란이 있었던 임모 군 사건 및 DVR 조작 의혹에 대해서는 계속 수사해 나갈 계획이다.
세월호 참사는 2014년 4월16일 전라남도 진도군 관매도 부근 해상에서 발생한 여객선 전복 사고를 가리킨다. 세월호에는 수학여행을 가던 단원고 학생 250여명을 포함해 총 476명의 승객이 있었다. 대한민국 해난사고 중 두 번째로 많은 사상자를 낸 이 사고로 인해 승객 476명 중 303명이 숨지고 142명이 다쳤다.
이정현 기자 goronie@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