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자율주행이앙기·자율주행트랙터…농기계도 자율주행 '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율주행이앙기·자율주행트랙터·자동수확기….

경향신문

대동공업이 개발한 자율주행이앙기. 대동공업 웹사이트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령화·저출산 속에 심각해지고 있는 농촌지역의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자율주행농기계’의 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24일 한국농어촌공사 등에 따르면 농기계 제조업체인 대동공업은 최근 ‘자율주행이앙기’를 내놨다. 이 이앙기는 일정한 직진 구간에서 자동으로 모를 심을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모판 운반자 1명, 이앙기 운전자 1명 등 2명이 1조로 운행해온 지금까지의 이앙기 조작을 1명의 힘으로 가능하게 한 것이 특징이다. 이 이앙기는 경로이탈시 엔진정지, 논두렁 이탈방지 등 다양한 기능도 갖고 있다.

업계에서는 현재 자율주행트랙터·자동수확기 등 다양한 자율주행농기계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자율주행농기계 수준은 직진 구간에서의 자율주행이 가능한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 윤성은 부장은 “곡선 구간에서도 자율주행이 가능한 농기계가 출시돼 현장에서 적용되려면 아직은 시간이 더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비해 일본의 경우는 직선구간은 물론 곡선구간에서도 농작업이 가능한 자율주행트랙터 등을 개발, 홋카이도 등 주요 농업지대에서 사용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얼마전 자율주행트랙터 개발을 둘러싼 업계의 기술개발경쟁을 다룬 드라마가 방송돼 큰 인기를 끌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농어촌공사가 자율주행 농기계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나섰다. 농어촌공사는 전남농업기술원, 전남대 무인자동화연구센터 등과 함께 전남 나주시 반남면 일원 50㏊에‘첨단 무인자동화 농업생산 시범단지’를 조성한다. 공사 측은 이 단지를 통해 자율주행농기계와 무인육묘장 등을 생산,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여 나갈 예정이다. 4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이 단지는 2023년 완공된다.

농어촌공사 김인식 사장은 “자율주행농기계를 중심으로 한 농업의 스마트화는 고령화 속에 위기를 맞고 있는 우리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데 필수적인 요소 ”라고 말했다.

윤희일 선임기자 yhi@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지금 많이 보는 기사

▶ 댓글 많은 기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