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8 (월)

셀트리온, 지난해 매출 1조1285억 달성…창사 이래 최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유경 기자] [매출·영업익 모두 두자릿수 증가…램시마SC 및 트룩시마 등 주요제품 믹스개선 효과]

머니투데이

셀트리온이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1조원을 돌파했다.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이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1조1285억원, 영업이익 3780억원을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대비 14.9%(1464억원), 영업이익은 11.6%(393억원) 증가한 것으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두자릿수 증가를 기록했다.

셀트리온은 매출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바이오시밀러 글로벌 출시 확대와 자회사인 셀트리온제약의 실적 개선을 들었다. 셀트리온은 램시마SC의 유럽 시장 론칭, 트룩시마와 허쥬마의 미국 론칭 등에 힘입어 바이오시밀러 부문이 고르게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셀트리온제약의 간장질환치료제 ‘고덱스’ 등을 비롯한 제품의 매출 증대도 원인으로 꼽았다.

영업이익은 램시마SC, 트룩시마 위주로 제품 믹스(Mix)가 개선되며 전년대비 증가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률은 외주 의약품위탁생산(CMO) 도입, 바이오시밀러 임상물질 생산 등 성장동력 확보 과정에서 발생한 원가율 상승 요인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머니투데이

셀트리온 트룩시마 / 사진제공=셀트리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셀트리온 "올해도 견조한 성장세 지속될 것"

셀트리온은 지난해 큰 폭의 성장세에 이어 올해도 △유럽시장의 안정화 △미국시장 출시 제품 확대 △램시마SC 시장 침투 가속화 △직판 도입으로 수익성 개선을 통한 견조한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현재 유럽시장에서 주요 바이오시밀러 제품인 램시마가 59%, 트룩시마가 39%, 허쥬마가 18%(2019년 3분기 IQVIA 기준)의 점유율을 달성하며 주요 제품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셀트리온 주요 제품 중 램시마(인플렉트라, 화이자 판매)는 미국 시장에서도 2019년 10월 미국 최대 사보험사 중 하나인 ‘유나이티드헬스케어’에 등재되며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후속 제품인 트룩시마(TEVA 판매) 역시 미국 론칭 2개월 만에 점유율이 급상승하며 두 자릿수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올해 3월 론칭을 앞두고 있는 허쥬마(TEVA 판매)는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중 유럽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달성한 점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시장에 선보일 것으로 기대했다.

셀트리온은 세계 최초 인플릭시맙 피하주사 제형인 램시마SC의 본격적인 유럽 론칭을 통해 ‘게임 체인저’로 글로벌 자가면역질환 시장의 판도를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램시마SC는 지난해 11월 류마티스관절염(RA) 적응증으로 EMA 허가를 획득한데 이어 올해 1월 염증성장질환(IBD)를 포함한 전체 적응증에 대한 변경허가를 제출하고 2월 유럽 판매가 시작됐다. 또한 미국에서는 신약으로 인정받았지만 미국식품의약국(FDA)과의 긴밀한 협의 끝에 1·2상 임상을 면제받고 3상을 진행 중이며, 2021년 임상이 종료되면 2022년 미국시장에 출시할 예정이다.

머니투데이

셀트리온 연구원 연구활동 모습 / 사진제공=셀트리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셀트리온 "글로벌 케미컬 프로젝트에도 속도 낸다"

셀트리온은 올해 글로벌 케미컬 프로젝트에도 속도를 낸다. 회사는 현재 미국 시장을 주 타겟으로 하는 글로벌 케미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고부가 제품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수익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회사는 중국 바이오시밀러 시장 진출을 위한 준비도 계속하고 있으며, 성 정부가 참여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원활하게 현지 진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중국 내 생산 설비를 글로벌 CMO 기지로 활용 시 원가 경쟁력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2030년까지 매년 1개 이상의 바이오시밀러 제품 출시를 목표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올해 중 3개 제품의 임상을 추가로 진행해 글로벌 시장에 선보일 제품군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케미컬 프로젝트도 고부가 제품을 70% 이상 포함한 포트폴리오를 확보하고 2022년까지 46개 제품 출시를 목표로 진행하고 있어 바이오와 케미컬을 모두 아우르는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으로 성장한다는 비전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김유경 기자 yunew@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