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7 (일)

[톺아보기]벼랑 끝으로 몰린 유통산업의 출구전략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2020년 경자년 벽두부터 가장 큰 이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과 이로 인한 내수 침체다. 특히 롯데쇼핑이 연초부터 200여개 점포의 구조조정에 나서며 오프라인 유통산업의 몰락을 예견하고 있다. 코로나19는 정부의 방역관리와 함께 국민 전체가 슬기롭게 대처해야 할 과제이지만 감염 경로가 불투명한 이유로 다중시설의 이용제한 및 사람이 많이 모이는 행사 등이 취소되면서 오프라인 유통업계와 소매업이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이번 일을 통해 앞으로 오프라인 유통매장의 생존 전략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 유통산업이 성장한 2000년대에는 전통적 소매업뿐 아니라 아웃렛, 헬스앤드뷰티(H&B), 복합쇼핑몰, 전문점 등과 같은 다양한 업태가 등장했다.


여기에 더해 인터넷 보급의 확대 및 스마트폰 등장 이후 모바일 쇼핑 확산 등 소비자의 선택지는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새롭게 등장한 아웃렛과 복합쇼핑몰, H&B 매장의 성장과 더불어 규제 대상 역시 종전 대형마트에서 다른 업태로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절대 강자인 온라인의 등장으로 오프라인 유통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단순 규제가 아닌 오프라인 사업자 간의 자율조정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바뀐 환경을 인정하고 오프라인 유통업계가 대응할 수 있도록 오히려 지원을 해야 할 상황인 것이다.


2009년 이후부터 정부는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보호라는 명목으로 대형마트에 대한 규제를 선택했다. 최근에는 대형마트에 도입한 월 2회의 의무휴업일을 복합쇼핑몰에도 적용하려는 움직임도 있어 점입가경의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영업규제가 전통시장과 소상공인들에게도 별반 효과가 없었다는 것이 증명됐는데 여전히 이분법적 규제의 잣대를 들이대고 있다는 점이다.


기존의 정책목표 달성 대신 전통시장은 물론 소매업을 비롯한 오프라인 유통시장 전체의 동반 몰락만 가속화한다는 점에서 규제 목적의 순효과 대신 역효과만 극대화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규제가 지역 간 쇼핑 편의성의 편차를 벌어지게 한다는 점은 더 큰 문제다. 신선식품의 경우 주요 인터넷 업체들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위주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때문에 수도권에서는 새벽 배송 및 당일 배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지방의 경우 아예 불가능하다. 따라서 지방 소비자들에게 새벽 및 당일 배송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대형마트 온라인몰에 대한 배송 규제를 풀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대형마트에서 운영하고 있는 온라인몰은 오프라인 대형마트의 영업일 규제를 동시에 받고 있어 격주에 한 번씩은 배송이 불가능하다. 때문에 쿠팡, 마켓컬리 등 기존 온라인 유통업체와 비교했을 때 불공정 경쟁은 물론 지방 소비자들의 쇼핑 편의성까지 빼앗고 있다. 유럽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지방 소도시 내 식료품 상점의 폐점과 동일시해 신선식품 등 양질의 식품을 제공하는 상점이 없어 건강 유지에 필요한 식품을 구하는 것이 어려운 지역에 대해 '식품의 사막화(Food Desert)'가 진행되고 있다는 설명도 한다.


지역 간 소비자 선택의 폭이 축소될 때 강조하고 있다. 2020년 들어 비단 코로나19 이슈가 아니더라도 소매유통 분야의 최대 화두는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는 '생존'이다. 갈등을 극복하는 '상생'에서 프레임 자체가 변화하고 있다. 이제는 유통산업을 규모의 이분법적 갈등으로 나누지 않고 공동의 목표를 갖고 생존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야 할 때다.


조춘한 경기과학기술대 경영학과 교수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