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두 번째 폴더블폰 '갤럭시Z 플립' 출시날인 14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KT를 찾은 시민들이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사진=김휘선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삼성전자의 두 번째 폴더블폰 ‘갤럭시Z 플립(사진)’이 글로벌 시장에서 흥행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Z 플립’을 쓰려면 5G(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포기해야만 한다. 삼성전자가 5G가 아닌 LTE(롱텀에볼루션) 통신 버전만 내놨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갤럭시노트10’ 이후 내놓은 전략 스마트폰 기종에 대해선 모두 5G 버전을 함께 출시해왔다. 다음달 6일 출시될 ‘갤럭시S 20’ 역시 시리즈 전 기종이 5G 버전으로 나온다. 전작인 ‘갤럭시 폴드’ 역시 LTE·5G 버전을 함께 내놨다. 적어도 국내 프리미엄폰 시장엔 5G 버전만 출시했다. LTE 사용자들의 불만도 속출했다. 그래서 더욱 의외다. 삼성은 왜 ‘Z 플립’ 모델을 LTE 버전으로만 내놨을까.
◇ 5G폰 밀기 나섰던 삼성, Z플립은 LTE버전 왜?=삼성이 표면적으로 내세운 이유는 폴더블폰 대중화 전략이다. 삼성전자는 “Z 폴드는 폴더블폰 대중화를 선도할 제품으로 더 많은 시장, 더 많은 사용자에게 폴더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LTE 모델에 주력하는 것으로 전략적 결정을 내렸다”라고 말했다.
지난해 ‘갤럭시 폴드’를 통해 폴더블폰의 시장 가능성을 타진했다면, ‘Z 플립’을 통해 대중화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갤럭시 노트’ 시리즈처럼 폴더블폰을 새로운 삼성 갤럭시 장르로 굳히겠다는 의지다. 노태문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사장)은 지난주 ‘갤럭시 언팩’ 행사 후 기자간담회에서 “폴더블폰이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만들기 위해 투자하고 있다”며 “상반기에는 공급이 원활치 않겠지만 하반기에는 대중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소비자 심리 저항선 지키는 것 우선= 대중화를 위해선 무엇보다 가격 경쟁력이 뒷받침 돼야한다. 삼성전자는 ‘Z 플립’ 출고가격을 165만원 정했다. 전작인 ‘갤럭시 폴드’에 비해 약 75만원 저렴하다. 연구개발비·부품·생산 공정 등을 고려할 경우 "남는 게 없을 정도"라는 게 삼성측 설명이다.
그럼에도 출고가를 100만원대 중반으로 확정한 것은 소비자들의 가격 심리 저항선을 넘기지 않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삼성 ‘갤럭시S20’ 최고급 모델인 ‘갤럭시S20 울트라’ 모델과 5만원 차이밖에 없다. 얼리어답터라면 충분히 선택의 기로에 설만하다.
그러나 5G 버전을 내놓게 되면 이 가격대를 유지할 수 없다. 실제 지난해 선보인 삼성의 ‘갤럭시S10 5G(512GB 기준) 모델은 직전 출시된 같은 기종 LTE모델보다 출고가가 25만원 가량 비쌌다. 업계 관계자는 “LTE 모델은 5G 모델보다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며 “LTE 모듈만 넣는 것과 LTE에 5G 모듈까지 추가하는 것은 단가부터 차이가 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여기서 한가지. 기존 '갤럭시S' 시리즈처럼 나라별 이통사별로 LTE와 5G 버전을 병행 출시하는 것이 '대중화 전략'에 보다 유리하지 않을까.
단말기 제조사 입장에선 절대 그렇지 않다. '대중화'를 노린 제품이라 해도 폴더블폰은 이제 막 개화기다. 기존 ‘갤럭시S’ 시리즈만큼 팔리긴 어렵다는 얘기다. 초기 소량 공급 체계로 운영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LTE와 5G 두가지 버전을 함께 출시할 경우, 생산비용만 배가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이 5G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거나 본격적으로 지역을 넓히고는 있으나 아직은 LTE를 쓰는 지역이 압도적으로 많다는 점도 고려됐다.
김주현 기자 naro@, 박효주 기자 app@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