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글로벌 아이] 샌더스와 트럼프의 불안한 공통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정효식 워싱턴특파원


미국 민주당 대선 경선 선두주자인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념은 정반대지만 공통점을 갖고 있다. 경제와 외교 정책에선 고립주의 성향이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유럽에서 벌써 트럼프에 빗대 샌더스를 ‘좌파 민족주의자’라고 경계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샌더스는 트럼프처럼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미국 노동자에 재앙”이라며 반대한 정치인이다. 지난달 나프타를 대체하는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 인준 표결 때 대선주자 중 유일하게 반대표를 던졌다. “보수 좋은 미국의 일자리를 보호하고, 환경을 개선하고, 기후변화를 막는 내용이 전혀 담기지 않았다”는 이유였다. 2016년 대선에서 샌더스 지지기반인 백인 노동자가 힐러리 대신 트럼프를 선택한 것도 자유무역협정을 반대하는 공통점 때문이었다.

중앙일보

글로벌아이 2/18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3일과 11일 아이오와와 뉴햄프셔주 샌더스 유세장에서 만난 2030세대가 78세 샌더스에 열광하는 이유는 단일 국가 의료보험(메디케어 포 올) 도입, 국·공립대 학비 면제, 대학생 부채 탕감, 최저임금 인상 같은 급진적 국내 정책 때문이지 외교정책은 아니었다. 중국과 러시아, 북한, 이란과 같은 전통적 지정학적 문제는 샌더스의 외교정책 우선순위도 아니다. 샌더스 행정부 국무장관의 최우선순위가 무엇이냐는 뉴욕타임스 설문에 “임박한 기후변화의 위협에 맞서 국제적 노력을 주도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샌더스는 “군산복합체와 부패한 기업의 이익을 위해 미국이 세계 경찰 역할을 복무하거나, 더는 군사적 개입주의에 나서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라크·아프가니스탄·시리아에서 미군을 철수하겠다는 공약도 트럼프와 같다. 그는 민주당 경선 토론에서 세계 군비지출을 언급하면서 “서로를 죽이는 살상 무기에 매년 1조 8000억 달러(약 2150조원)를 쓰기보다는 우리의 공동의 적인 기후변화에 자원을 투입해야 한다”고 했다.

샌더스 외교 우선순위는 한국에도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샌더스의 외교정책 보좌관인 맷 더스는 최근 애틀랜틱지에 “트럼프처럼 트위터로 미군 철수를 선언하거나 미군을 용병 취급하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경제적으로는 한국과 일본·독일 주둔이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했다. 로 카나 샌더스 캠프 공동의장은 “북한 비핵화 과정의 일부로 주한미군 철수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트럼프처럼 대놓고 주한미군 철수를 공약하진 않지만 결국 같은 방향으로 가지 않을까 걱정되는 이유다.

정효식 워싱턴 특파원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