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코로나19로 더 빛난 헌혈 영웅 “1초만 찡그리면 ‘희망 선물’…망설일 이유 없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삼성SDI 조현수씨

건강한 사람만 할 수 있는 특권…금주·체력 관리에도 도움

제 피가 한 생명 살린다니 짜릿…가치 있는 습관 함께하길

경향신문

고등학생 때부터 212회의 헌혈을 해온 조현수씨가 대한적십자사가 헌혈 200회를 넘긴 사람에게 주는 ‘명예대장’을 든 채 헌혈하고 있다. 삼성SDI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사바늘이 들어가는 1초만 찡그리면, 어떤 이에게 희망을 줄 수 있구나’. 20년 전쯤 우연히 헌혈을 한 뒤 삼성SDI 조현수 프로(38)는 뜨거운 무언가를 느꼈다. 이때 느낀 감동은 그에게 ‘가치 있는 습관’으로 이어졌고, 코로나19로 ‘헌혈 절벽’을 겪고 있는 요즘 빛을 발하고 있다.

삼성SDI 천안사업소에서 배터리 생산 업무에 종사하는 조씨는 지난 7일까지 212회의 헌혈을 했다. 성인 남성 1회 헌혈량이 400㎖인 점을 감안하면 약 85ℓ에 달한다. 500㎖ 생수병 약 170개에 담은 피를 누군가에게 나눠준 셈이다. 그는 대한적십자사로부터 헌혈 200회를 넘긴 이에게 주는 ‘명예대장’을 받기도 했다.

적십자사는 헌혈 횟수에 따라 최고명예대장(300회), 명예대장(200회), 명예장(100회), 금장(50회), 은장(30회)의 헌혈유공장을 수여한다.

조씨는 “헌혈은 건강한 사람만의 특권”이라고 말했다. 누군가를 살리는 일일 뿐 아니라 자신의 건강을 지키는 데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헌혈을 할 때마다 간단한 건강검진을 거쳐야 하며 독감 예방접종을 했거나 항생제가 포함된 감기약을 복용했다면 헌혈을 할 수 없다.

그는 “헌혈이 건강이란 선물을 줬다”고 말했다. 3교대로 근무하는데 헌혈을 하기 위해 건강한 운동 습관을 갖게 됐다는 것이다.

그는 회사에 있는 피트니스센터에서 하루 1시간 이상 운동한다. 헌혈을 앞두고는 술을 한 방울도 마시지 않는다. 자연스레 음주량도 줄었다. 조씨는 “교대 근무를 하다보면 밤낮이 바뀌어 체력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며 “하지만 헌혈을 하기 위해 건강관리를 하면 체력이 길러지고 결국 나에게도 도움이 된다”고 했다.

조씨는 최소 한 달 전 헌혈 예약을 한다. 헌혈 일정에 맞춰 몸 상태를 점검하고, 다른 일정 때문에 헌혈이 밀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언제부턴가는 명절 귀성길에 헌혈의집에 들르는 게 습관이 됐다. 명절에 고향이나 해외여행을 가는 사람들이 많아 혈액이 부족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자신과의 약속을 하나 추가한 것이다.

2005년 입사한 조씨에게는 피를 나누는 동료들이 있다. 서로 다른 계기로 헌혈을 시작했지만 같이 헌혈 습관을 공유하는 사이다.

같은 팀에서 일하는 안승호씨(50), 이부휘씨(40), 태충호씨(36)도 헌혈 100회를 넘겨 대한적십자사로부터 ‘명예장’을 받았다. 조씨는 “회사 동료에게 쉬는 날 잠만 자지 말고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일을 해보라고 습관처럼 말한다”며 “본인 가족이 아플 때 피가 없어 생명에 위협을 받는다고 생각하면 헌혈을 망설일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매년 2월에는 겨울방학과 설 연휴로 헌혈량이 줄어든다.

올해는 코로나19까지 겹쳐 헌혈하는 사람이 크게 줄고 있다. 원활한 혈액 수급을 위해선 1일 평균 혈액 소요 예상량을 토대로 5일분 이상을 비축해둬야 한다. 그러나 3일분 미만(주의 단계)에서 2일분 미만(경계 단계)으로 진입하는 지역이 늘고 있는 게 지금의 상황이다. 조씨는 “더 많은 사람들이 헌혈을 통해 가치 있는 습관 하나를 꼭 만들면 좋겠다”고 말했다.

곽희양 기자 huiyang@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지금 많이 보는 기사

▶ 댓글 많은 기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