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추미애, 공소장 비공개 논란 직접 해명…"국정농단 때는 헌법재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청와대 선거개입 의혹 사건의 공소장 비공개 결정 논란에 대해 직접 해명했습니다.

추 장관은 오늘(6일) 오전 11시쯤 서울고검 내 법무부 대변인실 분실인 '의정관' 개소식에 참석했습니다, 취재진은 이 자리에서 공소장 비공개 결정이 민주당 당 대표 시절 언행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취지로 추 장관에게 질문했습니다.

앞서 추 장관은 더불어민주당 대표 시절이던 2016년 11월, 자신의 페이스북에 박근혜 전 대통령을 공범으로 적시한 국정농단 사건 관련자의 공소장을 거론하면서 "박 전 대통령이 국정농단 관련 공동정범이자 범행을 주도한 피의자"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를 두고 공소장 공개 여부를 대하는 입장이 과거와 달라진 것이냐는 질문이 나오자 추 장관은 박 전 대통령 사건은 헌법재판의 영역이었고 이번 선거개입 의혹 사건은 형사재판이라 무관하다고 답했습니다.

또 "헌법 재판은 헌법상의 여러 원칙을 지킬 태도가 돼 있느냐는 것이고 여러 종합적인 고려를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헌법 재판에 이른 박 전 대통령 등의 국정농단 사건을 선거개입 의혹 사건과 같은 형사사건과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추 장관은 법무부가 국회에 공소장 전문을 제출하지 않는 게 헌법과 형사소송법, 국회법 등 위반이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자료 제출을 안 한 게 아니라 (검찰) 보도자료와 공소장 전문의 중간 정도 자료를 제출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국회증언감정법에 따르면 (국회의 요구에 대해) 자료 제출 의무가 있는데 어디까지라는 기준이 없다"면서 "헌법상 무죄 추정의 원칙에 귀속돼 상위법을 준수해야 한다는 고민을 했고 그 정도로 자료 제출에 응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추 장관은 또 선거개입 의혹 사건은 관계자가 많아 일부 피의자들은 처분이 안 된 상황이라며 공소장을 공개하면 기소되지 않은 피의자들의 피의사실 공표가 되는 부분까지 숙고했다도 덧붙였습니다.

추 장관은 공소장은 "앞으로 재판 과정에서 공개될 것"이라며 "미국 법무부도 공판 기일이 1회 열리면 공개가 되고 법무부도 개시하는 것 "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법무부도 "공판 절차가 개시되면 국민의 알 권리 충족을 위해 (공소장을) 형사사건공개심의위원회를 통해 공개하는 방식으로 될 수 있다"며 "국민의 기본권을 지키고 사법 정의를 지켜내려면 익숙한 관행을 고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공소장 비공개 등 방안이 조국 전 장관 때부터 추진돼오던 일인데 왜 하필 이 시점에서야 공소장을 비공개하는지에 대해서도 해명이 이뤄졌습니다.

추 장관은 "조 전 장관은 본인 일이다 보니 포토라인과 피의사실 공표 금지 문제의 이해관계자처럼 돼 제대로 하지 못했다"며 "제가 정치적 오해를 살 수 있지만 이번에는 그냥 지나가면 누구도 하지 못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법무부 내부에서 "반대가 아니라 피의사실이 여과 없이 나가는 건 안 된다는 원칙에 동의했다"면서 "이 사건이 사건인 만큼 정치적 오해로 인한 상처를 염려해줘서 그런 거라면 제가 충분히 감내하겠다고 한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개소식에서 추 장관은 취재진과 30분간 회견을 이어갔습니다.

추 장관은 개소식과 관련해서는 "법무·검찰 개혁에 있어서 법무부가 할 일이 굉장히 많다"며 "현장에서 어떤 애로와 문제점이 있는지 예상해야 되고, 시행령과 부령을 만드는 데 반영돼야 하기 때문에 소통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강청완 기자(blue@sbs.co.kr)

▶ 의학전문기자가 알려주는 '신종 코로나'의 모든 것
▶ 신종 코로나 감염자 동선 한눈에 보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