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美대선 앞두고...트위터도 ‘딥페이크’ 단속 나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지난달 22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제 50회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 하오 리 컴퓨터 공학 부교수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딥페이크(deepfake)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화면에는 하오 교수의 표정과 몸짓 위에 영국 테리사 메이 전 총리의 얼굴이 씌워진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다보스=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미국 대선을 앞두고 페이스북과 유튜브에 이어 트위터도 ‘딥페이크’(deepfake) 가짜뉴스 단속에 나섰다. 4일(현지시간) 트위터는 “상당히 기만적으로 합성ㆍ조작된” 사진 또는 영상에 앞으로 ‘가짜’(false) 딱지를 붙일 것이라고 밝혔다. 전날 아이오와주 코커스를 시작으로 미 대선 경주가 시작된 가운데, 가짜뉴스로 인한 표심 왜곡을 최대한 막겠다는 취지로 보인다.

로이터통신은 이같이 전하면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기업들은 초현실적인 조작 영상을 만드는 딥페이크의 위협에 대처해야 한다는 압력을 받아왔다”고 보도했다. 딥페이크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이용해 정교하게 조작한 이미지·동영상으로 그 진위를 가리기가 매우 어렵다. 이 때문에 미국에서는 대선 기간 후보자의 얼굴을 특정 동영상에 합성해 실제로는 하지 않았던 발언이나 행동을 한 것처럼 조작할 가능성 등을 우려하고 있다.

트위터의 조치도 이런 맥락에서 이뤄진 것이다. 트위터는 기본적으로는 게시물 삭제가 아닌 가짜 딱지를 붙여 대응하겠지만, △신체적 위협을 가하거나 △광범위한 시민사회의 불안을 야기하거나 △유권자를 탄압하거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는 게시물 등 실질적으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조작 게시물에 한해서는 삭제 조치를 내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조작 영상’ 단속에 나선 것은 트위터만이 아니다. 지난 3일 유튜브도 조작된 선거 동영상을 삭제할 방침이라고 밝혔으며, 페이스북도 지난달 딥페이크 동영상의 게시를 금지하고 이런 영상이 올라올 경우 삭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페이스북은 유희나 패러디를 위해서 누구나 조작 여부를 알아챌 수 있는 수준의 게시물, 딥페이크를 활용하지 않은 영상 등은 논란이 일더라도 일단 유지한다고 덧붙였다.

최나실 기자 verit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