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문공항추진위·시민단체·지방의회 등
28~29일 잇달아 기자회견·성명 발표해
김해신공항 총선전 검증결과 발표촉구
2019년 12월 7일 부산역에서 개최된 동남권 관문공항 대정부 조속결단 촉구 부울경 800만 시도민 총궐기대회. [사진 부산상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동남권(부산·울산·경남)에서 오는 4·15 국회의원 총선거 전에 김해 신공항 검증결과를 발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총선 때 김해 신공항 검증문제가 정치 쟁점화하면서 검증작업이 지연·표류할 것이라고 우려하는 목소리다.
부산·울산·경남 관문공항 추진 시민단체와 지방의회 관계자들은 29일 오후 2시 30분 부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해 신공항 검증 결과를 총선 전에 발표할 것을 촉구한다. 기자회견에는 김해 신공항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 동남권 관문공항추진 부·울·경 범시민운동본부, 신공항추진 범시민운동본부, 신공항 촉구 교수회의 등 4개 단체 관계자와 김지수 경남도의회 의장, 옥영문 거제시의회 의장, 김형수 김해시의회 의장 정기수 부산 북구의회 의장, 장인수 부산 사상구의회 의장 등 50여명이 참석한다.
지난해 6월 20일 김해 신공항 검증에 합의한 김현미 국토부 장관(왼쪽 둘째)과 부울경 단체장. [사진 부산시] |
이들은 미리 배포한 기자회견문에서 “김해 신공항 검증이 시기를 다투는 엄중한 국정과제임에도 해를 넘기면서 뚜렷한 일정을 제시하지 않고 있어 온갖 억측이 난무하고 있다”며 “총리실은 총선의 영향을 받지 않는 시점에 검증결과를 발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해 신공항 검증이 총선 때 자칫 정치적 문제로 비화할 가능성이 있어 총리실은 더는 국내 여론이나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지 말고 조속히 검증 결과를 발표하라는 주장이다.
김해 신공항 검증작업은 지난해 6월 김해 신공항의 적정성을 총리실이 검증하기로 부산·울산·경남 시·도지사와 국토교통부 장관이 합의하면서 시작됐다. 이어 지난해 12월 분야별 전문가 21명으로 총리실 검증위원회가 출범하면서 검증작업이 본격화하고 있다. 하지만 검증결과는 언제 나올지 불투명한 상태다. 김해 신공항 건설사업은 현 김해공항에 활주로 1개(3.2㎞)와 국제선 청사를 추가로 신설해 오는 2026년 개항하는 사업이다.
부울경 단체장과 국토부장관이 지난해 6월 작성한 김해 신공항의 총리실 검증 합의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서 부산지역 상공계 인사 등으로 구성된 동남권 관문공항추진위원회(상임 공동위원장 허용도 부산상의 회장)는 28일 ‘정세균 국무총리께 드리는 부산·울산·경남 800만 시·도민 입장문’을 발표하고 김해 신공항 적정성 검증 결과를 총선 전에 발표할 것을 촉구했다.
추진위원회는 입장문에서 “국토부가 주장하는 김해 신공항 확장(안)은 공항이 갖추어야 할 기본조건인 안전과 소음 문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24시간 운항이 불가하여 사실상 관문공항 역할을 할 수 없다는 점이 이미 충분한 자료로 판명됐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는 국무총리실 검증을 거쳐 김해 신공항 대신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을 조기 결정해달라는 요구라 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의 김해신공항 건설계획도. [사진 부산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추진위원회는 “김해 신공항 검증 결과 발표는 국가 백년대계가 걸린 사안으로, 총선에 가까워질수록 정치 쟁점화 우려가 크고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은 정부의 국가균형발전에 대한 정책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바로미터”라며 조속히 검증 결과를 발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허용도 동남권 관문공항추진위원회 상임 공동위원장은 “국토부의 김해 신공항 확장은 7조원을 들이고서도 지역경제를 견인할 수 없는 비효율적인 공항이 될 것”이라며 “국가 균형 발전에 맞춰 정부는 잘못된 정치적 결정을 지금이라도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