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사스·메르스 대응 어땠나②] 지지율 최저치 만든 朴정부 '메르스 대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朴 전 대통령, 확진환자 16일 만에 현장 방문
2003년 사스와의 비교에 불쾌감 나타내
질병관리본부.국민안전처 대응 안일..청와대는 정권 유지 생각만
결국 여론 뭇매 맞으며 국정지지율 최저치 기록


파이낸셜뉴스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015년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국립보건연구원에서 메르스 대응 비상 실험실을 둘러보고 있다. 뉴스1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지난 2015년 6월 5일 박근혜 당시 대통령이 국립중앙의료원을 방문했다. 메르스(MERS, 중동호흡기증후군) 첫 확진환자가 나온 지 16일만의 방문이다. 메르스 확진 환자 및 격리 대상자가 급증하고, 서울 강남의 학교들이 휴교하는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뒤늦게 현장을 방문한 것이다.

국립중앙의료원을 방문한 박 대통령은 지난 2003년 유행했던 사스와 메르스가 다르다며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양상이 사스하고는 다르다는 것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메르스의 경우에 우리가 이전에 경험을 한 번도 못해봤던 감염병"이라고 말했다. 일부 언론에서는 참여정부의 사스 대처와 메르스 대처를 비교하는 것에 대해 박 대통령이 불쾌감을 표시한 것으로 해석됐다. 박 대통령은 "사스 경우에는 중국이나 동남아에 이미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질병 유입을 막아내는 것이었는데, 이번 메르스 경우는 내국인에 의해 질병이 유입된 후 의료기관 내 여러 접촉을 거쳐 감염이 계속되고 있다"며 거듭해서 차이점을 강조했다.

'우한 폐렴'으로 불리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중국을 중심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26일 세 번째 확진자가 발생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이날 대국민 메시지를 내고 "정부가 지자체들과 함께 모든 단위에서 필요한 노력을 다하고 있으므로 국민들께서도 정부를 믿고 필요한 조치에 대해 과도한 불안을 갖지 마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또한 이날 오전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 정기현 국립중앙의료원장과 통화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상황'을 보고받고 관련 지시를 내리기도 했다.

우한 폐렴이 확산되면서 2003년 참여정부 당시의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사태'와 2015년 박근혜 정부 당시의 '메르스 사태'에 대한 정부 당국의 대응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참고로 우한 폐렴과 사스, 메르스 모두 '코로나 바이러스의 변종'으로 말하자면 사촌지간이다.

파이낸셜뉴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에서 박근혜 대통령 메르스 무능과 거부권 행사에 대한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하고 있다. 2015.6.26/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5년 5월 20일 국내 첫 메르스 확진환자가 발생했다. 그리고 6월 5일 확진 환자 발생 16일 만에 병원을 찾은 박근혜 대통령은 참여정부와의 비교에 불쾌감부터 나타냈다.

대통령의 대응 속도 만큼이나 보건 당국의 움직임도 더뎠다. 첫 확진자가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한 5월18일 질병관리본부에 확진 검사를 요청했지만 다른 호흡기 질환이 아닌지 검사하라고 답했다. 12가지 검사를 추가로 한 뒤에도 병원이 요청하자, 질변관리본부 측은 "메르스가 아니면 해당 병원 측에서 책임지라"고 한 사실이 전해지기도 했다. 질병관리본부는 메르스 확진환자가 발생한 5월20일 체육대회 겸 워크숍을 진행하며 비판을 한 몸에 받았다.

여기에 당시 국민 안전의 콘트롤 타워였던 국민안전처에서도 사태를 안일하게 대처했다.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메르스 사태가) 심각한 단계는 아니다. 신종플루 같은 경우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300만명 정도 감염됐을 때 중대본(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을 가동했다. 지금은 중대본을 가동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발언했다. 세계에서 가장 감염자수가 많은 사우디의 감염자는 1000명이 조금 넘었다.

심지어 청와대에서는 "메르스 유가족들이 모임화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며 유가족에 대한 동향을 조사하라고 지시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메르스 사태 1년 전인 2014년 세월화 사건 때 유가족의 집단화와 여론 형성 때문에 내려진 대처로 해석돼, 재난 상황에서도 국민 안전 보다 정권 유지에 더 힘을 쏟았다는 비판을 받게 되었다.

결국 6개월 동안 186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이 가운데 38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는 메르스가 처음 발견된 사우디 아라비아에 이어, 세계 2위의 피해 규모다.

방역 후진국인 중국에까지 메르스를 전파하며 "메르스 환자를 (자기네 나라로) 보내놓고 그런 줄도 모르는, 2015년의 한국은 방역 후진국이다"라는 비아냥까지 듣기도 했다. 참고로 우리나라에서 확진환자가 한 명도 없었던 2003년 사스 때, 600명이 넘는 사망자를 낸 중국이었다.

청와대부터 현장까지 안일한 대처가 진행되면서, 박근혜 정부의 국정 지지율은 당시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국갤럽의 정례 여론조사에 따르면, 2015년 5월까지 40% 수준이었던 국정 지지율은 6월 첫째주 34%까지 떨어졌고, 메르스 사태가 확산된 6월 셋째주 당시 최저 지지율이었던 29%까지 급락했다.

2015년 6월, 박근혜 정부의 메르스 대응을 비판한 제1야당 새정치민주연합의 당시 당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이었다. 총선이 80일 밖에 남지 않은 현재,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2003년과 2015년의 선례와 교훈을 뼈에 새겨야 할 상황이 온 것이다.

파이낸셜뉴스

뉴스1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fair@fnnews.com 한영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