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전쟁나자 “오빠 다녀올게” 떠났던 6·25 전사자…유해 발굴 16년 만에 신원 확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유해발굴 16년만에 6·25전사자 신원 확인…73년만에 가족 품으로 - 6·25전쟁 중 1951년 1월 ‘홍천 부근 전투’에서 20세의 꽃다운 나이에 전사한 황정갑 일등중사(현 계급 하사)의 유해가 73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28일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에 따르면 황 하사의 유해는 2008년 7월 강원도 홍천군 삼마치 고개 일대에서 발굴됐다고 밝혔다. 사진은 황정갑 하사의 생전 사진. 2024.6.28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 제공


6·25 전쟁 당시 ‘홍천 부근 전투’에서 20세의 꽃다운 나이에 전사한 고 황정갑 일등중사(현 계급 하사)의 유해가 73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28일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에 따르면 황 하사의 유해는 2008년 7월 강원도 홍천군 삼마치 고개 일대에서 발굴됐다. 유해가 발굴되기 한 달 전 황 하사의 여동생 황계숙(1933년생)씨가 오빠의 유해를 찾기 위해 유전자 시료를 제공했지만 당시에는 가족관계를 확인하지 못했다.

국유단은 더 정밀한 유전자 기술을 동원해 최근 유전자를 재분석했고 이달 드디어 가족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여동생 황씨는 지난해 세상을 떠났다. 2000년 4월 유해발굴이 시작된 이후 신원이 확인된 국군 전사자는 총 234명으로 늘었다.

1930년 4월 평안도 신의주에서 태어난 황 하사는 1945년 해방 후 가족과 함께 공산 치하에서 벗어나기 위해 고향을 떠나 지인이 있는 충남 당진시 합덕읍에 정착했다. 황 하사는 1949년 1월 18일 국군 제18연대에 자원입대했고, 6·25 전쟁이 발발했을 때는 휴가를 받고 집에 머물고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전쟁 소식을 듣고 여동생에게 “잘 지내고 있어라. 오빠 갔다 올게”라는 말을 남기고 부대로 복귀했다고 전해졌다.

황 하사는 이후 ‘한강방어선 전투’, ‘진천-청주 전투’, ‘기계-안강 전투’, ‘원산 진격전’, ‘길주-청진 진격전’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고, 이후 홍천 부근 전투에서 북한군과 맞서 싸우다 1951년 1월 14일 전사했다.

홍천 부근 전투는 1950년 12월 말부터 1951년 1월까지 국군 제3사단이 38선 일대 소양강 부근에서 북한군의 공격에 맞서 강원 평창으로 이동하기까지 적을 막아낸 방어 전투다.

이날 오전 고인의 유해를 유족에게 전달하는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가 인천 계양구에 있는 유가족 자택에서 열렸다.

허백윤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