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한수원·동서발전 노사 직무급제 도입 합의…대형 공공기관 확산 움직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내달부터 한수원 차장급 이상 급여에 실제 반영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한국전력(015760) 산하 발전 공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한국동서발전 노사가 직무급제 도입에 합의했다. 대형 공공기관 사이에서도 직무급제 확산이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이데일리

한국수력원자력 로고. 한수원 홈페이지 제공


22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한수원 노사는 지난해 12월27일 보수체계를 현 호봉제에서 직무급 중심으로 개편하기로 합의했다. 합의안에는 전년대비 임금인상(인상률 1.8%) 재원을 활용해 직무급 등급을 구체화하고 직무평가급을 신설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한수원 관계자는 “당장 올 2월부터 차장(3직급) 이상 직원부터 직무평가 결과를 급여에 반영하고 과장(4직급) 이하는 노조와의 추가 협의를 거쳐 도입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동서발전 노사도 직무급 가산제 도입에 합의하고 지난해 12월23일 임급협약서에 이를 반영했다. 동서발전은 근로자 대표를 포함한 별도 위원회를 구성해 세부 시행기준을 확정할 계획이다.

직원수 1000명 이상 대형 공공기관이 직무급제를 받아들이기 시작한 것이다. 지난해에도 석유관리원과 새만금개발공사, 산림복지진흥원, 재정정보원 등이 직무급제를 도입했으나 임직원 수가 1000명 미만인 작은 기관이었다.

그러나 올 초 직원 수 1200여명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가 직무급제를 도입한 데 이어 동서발전, 한수원까지 이를 추진하면서 공공기관 직무급제 도입에 본격화하게 됐다. 한수원은 임직원 수가 약 1만2500명, 동서발전도 2500명에 이른다.

직무급제란 기본급을 지금 어떤 직무를 맡고 있느냐에 따라 달리하는 제도이다. 공공기관 임금은 공무원처럼 근무연수에 맞춰 일정액을 올려주는 연공급제(호봉제)로 운영돼 왔다.

정부는 그러나 2018년 말부터 노사 합의를 전제로 직무급 중심의 공공기관 임금체계 개편을 추진해 왔다. 특히 기획재정부가 지난해 근로자 임금 인상과 직결한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직무급제 도입 여부를 반영키로 하면서 동참 기관이 빠르게 늘어나는 모습이다.

업계 관계자는 “기재부가 경영평가에 반영키로 한데다 대형 공공기관도 속속 동참하기 시작한 만큼 앞으로 직무급제 도입 속도는 더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작년 4월 민주노총 민주일반연맹이 2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직무급제 도입 규탄 및 폐기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